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원전 오염수 방류는 과학과 괴담의 문제가 아닌, 인류의 미래에 대한 책임과 무책임 문제”라며 “일본 정부는 양심과 도의에 어긋나는 방류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적 검증에도 많은 논란이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30~40년간 방류될 오염수가 기후 변화로 몸살을 앓는 인류의 터전, 해양 생태계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 예측도 어려운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22일 ‘일본 오염수 방류에 과학·기술적 문제가 없다’고 밝힌 우리 정부 입장을 거론, “우리 정부는 국민 80% 이상이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고 있지만 대통령실 예산으로 방류가 안전하다는 홍보 영상까지 제작하며 일본의 방류를 인정했다”고 꼬집었다.
김 지사는 “(오염수 방류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과 한국 정부의 방조가 낳은 합작품”이라며 “방조를 넘어 공조까지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부끄러움을 넘어 분노가 치민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김 지사는 한강에 화학물질을 무단 방류했다가 괴물을 만들어냈다는 내용의 영화 ‘괴물’을 인용하며 “작중 화학물질을 버리는 이들이 ‘한강은 아주 넓다’고 말하는 장면이 등장한다”며 “영화 속 장면과 이번 오염수 방류의 공통점은 가장 비용이 적고 쉽지만 어떤 결과가 따를지 불확실한 방법을 택한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선택이 20~30년 뒤 어떤 괴물을 만들지 모르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또 김 지사는 “(24일) 방류가 시작되면 도는 추경을 통해 각종 대책을 세워야 하고 타 지자체, 정부도 마찬가지”라며 “왜 일본이 예산을 아끼기 위해 자행한 오염수 방류에 국민 세금을 써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2일 만난 수산물 상인들은 방류 소식에 이미 매출의 70%가 급감했다고 호소했다”며 “국내 소비 급감과 경기침체를 한층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사회 갈등과 혼란도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대체 누가 지불해야 하나”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아직 하루가 남았다. 정부는 일본 정부에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 즉각 철회를 요구해야 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위해 일하는 정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 22일 각료회의를 거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24일부터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