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한국화학연구원, 초고감도 근적외선 유기광센서 원천기술 개발

‘ACS Nano’에 실린 공동 연구팀의 논문 내용을 설명하는 이미지. 아주대 제공

 

아주대학교(총장 최기주)가 한국화학연구원(KRICT, 원장 이영국)과 함께한 공동 연구팀에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 빛을 전류 신호로 전환하는 유기 소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김종현 아주대 교수 연구팀과 고서진·윤성철 한국화학연구원 박사 연구팀은 공동 연구를 통해 근적외선 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유기 반도체 소재와, 이를 이용한 유기 포토디텍터(Photodetector) 소자를 개발했다. 아주대 연구팀이 포토디텍터 소자 설계와 성능 최적화 연구를 수행했고, 한국화학연구원 연구팀은 근적외선 흡광 소재 개발 연구를 맡았다.

 

이번에 발견한 소재를 이용하면 적외선 빛을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어 자율주행차와 우주 및 군사 시설,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김종현 아주대 교수는 “그동안 1천nm 이상 근적외선 빛의 고감도 검출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연구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며“이번에 개발한 소재·소자 기술이 고감도의 근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통신, 바이오 헬스케어 센서 등 여러 신산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서진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근적외선 광센서 분야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성과”라며 “동시에 상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원천 소재 및 소자 기술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한편 해당 내용은 지난 10월 소재 분야 저명 학술지인 ‘ACS Nano’에 ‘신규 비풀러렌계 비대칭 전자수용소재를 이용한 고광검출력 근적외선 유기 포토디텍터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