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기억하는 안전한 인천 꿈꾼다 [세월호 10년, 새겨진 그날]

재난피해자연대 ‘10주기 추모문화제’
이광호 위원장 “연대·공감 중심에서
각종 제도 개선·시민 교육 앞장설 것”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1일 앞둔 15일 인천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을 찾은 수녀님들이 추모하고 있다. 조병석기자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1일 앞둔 15일 인천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 세월호 참사 일반인 희생자 추모관을 찾은 수녀님들이 추모하고 있다. 조병석기자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인천지역에서 재난 피해자들이 모여, 참사의 ‘기억’을 토대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15일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위원회 등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 추모문화제’가 열린 지난 13일 인천시청 애뜰광장에는 인현동 화재 참사 유족단체와 이태원 참사 유족 단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단체 등이 함께했다.

 

인현동 화재 참사 유족 단체 대표로는 지난 1999년 참사로 아들을 잃은 이재원 인현동유족회장, 2022년 이태원 참사로 딸을 떠나보낸 유형우 이태원참사 유가족 협의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또 가기 살균제 피해자 단체 구성원과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함께’ 관계자 등도 힘을 보탰다.

 

박래군 4·16재단 상임이사는 “사회적 참사는 후세들에게 교훈으로 남아야 한다”며 “이 때문에 누구든지 쉽게 가서 보고, 느끼고, 교육을 받으며 ‘기억’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들은 이 같은 연대는 물론 시민사회의 지지가 이어져 재난을 ‘기억’할 때 앞으로 재발을 방지,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한 목소리로 외치고 있다.

 

이 인현동유족회장은 “세월호 이후 여러 재난 참사 피해자들과 연대하면서 (참사가) 잊혀지지 않고, 이로 인해 앞으로 같은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참사 피해자들이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말 이들 재난 참사 피해자들은 재난참사피해자연대를 발족했다. 인천에서 발생한 세월호와 인현동 참사는 물론 삼풍백화점 붕괴 및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참사 등의 피해자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누구든 우리처럼 오래, 우리만큼 깊이 고통 받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함’을 내세우며 안전 사회를 바라고 있다.

 

이광호 세월호 참사 10주기 인천위원회 집행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이후 이제 인천이 재난 피해자들의 연대와 공감의 중심에 서 있다”며 “그날의 기억을 토대로 보다 안전한 인천을 만들 수 있는 각종 제도 개선과 시민 교육 등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