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인증용’ 위험한 등반... 10대 놀이터 된 ‘방음 터널’

CCTV없고 울타리 경고등 미작동... 허술한 안전 관리 체계 ‘안전 위협’
일반인 출입 통제 방안 마련 시급... 도로公 “법적 제재 근거 없어 난관”

4일 수원특례시 영통구 이의동의 한 방음터널로 향하는 점검용 통로가 관리가 허술한 상태로 놓여있다. 박소민기자
4일 수원특례시 영통구 이의동의 한 방음터널로 향하는 점검용 통로가 관리가 허술한 상태로 놓여있다. 박소민기자

 

SNS 인증, 호기심 충족을 위해 방음 터널 위에 올라가려는 10대 학생들의 접근이 이어지고 있지만, 허술한 안전 관리 체계가 이를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음터널 접근이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에도 이를 막는 것은 폐쇄회로(CC)TV나 경비 인력 등이 아닌 낮고 허술한 울타리가 전부기 때문인데, 도로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4일 경기일보 취재진이 찾은 수원특례시 영통구 한 도로변. 방음터널로 향하는 점검용 통로 입구에는 '통행금지'가 적힌 펜스가 있었지만 길이나 높이가 사람의 출입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또 이곳을 비추는 폐쇄회로(CC)TV도 없었으며 울타리에 장착된 경고등은 사람이 지나가도 작동하지 않았다. 통로를 따라 내부에 진입하니 사다리가 나왔고, 이를 타고 방음터널 위로 올라서는 데 아무런 장애물이 없었다.

 

상황이 이렇자 지난해 6월 한 10대 여중생이 노을이 지는 하늘을 보기 위해 해당 방음터널 위에 올라가는 일이 발생한 이후 비슷한 사건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고등학생 2명이 동일한 방음터널 위에 올라갔다 구조되는 일이 있었다. 이 학생들은 지난해 여중생의 사례를 알게 된 후 SNS 라이브 방송을 위해 올라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지난해 첫 사건 이후 경찰이 도로공사 측에 사다리 잠금장치 등 접근 차단책을 요청하고 도로공사가 “지난해 사례 이후 잠금장치를 설치한 상태”라고 답했지만, 여전히 사람이 쉽게 오갈 수 있는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학과 교수는 “경고등이 작동하지 않고 울타리가 통로를 차단하지 못한다는 것은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는 방증”이라며 “통행 시 어떤 제재가 가해질 수 있다는 경고 문구로 경각심을 심어주는 한편, 일반인 출입을 막을 강력한 방안이 논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도로공사 서울경기본부 관계자는 “점검용 통로를 이용해도 도로공사가 법적으로 제재할 수 있는 것은 없고, 보행자를 발견해 출동한다 해도 고속도로 순찰대에 인계하는 방법 외엔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 강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