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내년 총선 앞두고 수백~수천명 입당원서 쇄도
여야의 책임당원·권리당원 확보 경쟁이 막바지에 치달으며 뜨거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5일 경기도 정가에 따르면 내년 4월 20대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경선에 대비, 당원모집 경쟁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수백명에서 수천명까지 책임당원 입당원서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책임당원은 당규상 1년에 월 2천원 이상을 6개월 이상 납부한 당원으로, 책임당원이 돼야 당내 투표권자의 최소 자격을 얻는다.
김무성 대표와 황진하 사무총장(파주을)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강조하고 있지만 야당이 반대할 경우 오픈프라이머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판단하에 내년 1~2월 치뤄질 수 있는 경선에 대비, 책임당원 모집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도내 분구예상지역 출마를 노리는 A 예비주자는 900여명의 책임당원 입당원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으며, B 의원측은 “우리 지역은 특별히 책임당원을 새로 모으기 보다는 정비하는 수준으로 1천명 가량 된다”고 말했다.
또한 C 원외 당협위원장은 “같은 지역에 있는 D 예비주자가 1천명 가량 책임당원 입당원서를 제출, 즉각 지역에 비상을 걸어 1천200명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도 비슷한 양상이다. 새정치연합의 경우 책임당원이라는 명칭 대신 권리당원이라는 명칭을 부여, 일반 당원들과 차이를 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역이나 원외지역위원장은 물론이고 내년 총선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후보군들도 권리당원 모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일부 지역위원회에서 ‘7월부터 당비를 납부한 당원들에게만 내년 총선에서 경선투표권이 부여된다’는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돌면서 일부 총선 후보군들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돌리면서 급하게 당원을 확보하는 해프닝이 빚어지기도 했다.
당 관계자는 “아직 총선 후보선정 방식조차 결정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언제부터 당비를 납부한 사람들에게만 투표권이 부여된다는 식의 소문은 뜬 소문에 불과하다”며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선거제도 개편에 따라 향방이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민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