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 의혹’ 의정부 장외발매소 작년 사회공헌 예산 1억4천만원 전체 수입의 0.1% 수준도 안돼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한국마사회의 탈세 의혹을 국세청에 정식으로 신고, 조사를 의뢰하기로 한 가운데(본보 7월30일자 1면) 의정부 경마 장외발매소가 지난해 1천780억여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면서도 지역 발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에는 고작 1억4천여만원 밖에 쓰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장외발매소의 사회공헌 활동이 사행성 조장과 교통 체증 유발 등 비난 여론 무마를 위한 ‘보여주기식’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마사회 등에 따르면 의정부 경마 장외발매소는 지난해 마권 발매로만 1천780억여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마권 매출액 10%를 지방세로 냈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지난 한 해에만 1천600억여원의 수입을 올린 셈이다. 여기에 37만여 명의 입장객으로부터 받은 입장료와 지정좌석제 도입 효과 등을 고려하면 장외발매소의 지난 한 해 수입은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장외발매소가 지난해 지역발전을 위해 사용한 사회공헌 활동 예산은 1억4천여만원으로 전체수입의 0.1%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의정부 장외발매소가 지역 주민 복지 향상 명목으로 운영하고 있는 문화교실의 지난해 예산은 3천700만원에 불과했다. 여기에 복지단체 지원(8천400만원)과 장학사업(1천600만원), 불우이웃돕기(1천만원) 등에 쓴 예산을 모두 합치더라도 1억4천여만원 수준밖에 안 된다.
이처럼 장외발매소의 사회공헌 활동이 미비한 수준에 그치면서 장외발매소가 지역 발전을 외면한 채 돈벌이에만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지역 주민 K씨(46ㆍ의정부시 의정부동)는 “장외발매소 운영을 통해 2천억원에 가까운 돈을 벌어들이면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2억원도 채 쓰지 않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지역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주면서도 지역사회 공헌은 생색내기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문화교실 운영 확대 등을 위해 추가로 고용한 직원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더 많은 예산을 쓰고 있는 셈”이라며 “올해부터 문화교실 운영 예산을 두 배 가량 늘리는 등 지역 발전을 위해 더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정부=박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