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치불신을 해소하고 새천년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여야 총재회담이 물건너 가는 분위기다.
여야 모두 총재회담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쟁점현안에 발목이 잡혀 회담성사가 요원한 때문이다.
게다가 여야 수뇌부들은 3당3역회의등 다각적인 채널을 통해 어느정도 합의점을 찾은뒤 총재회담을 개최하기를 바라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진척도 전혀 없는 상황이다.
먼저 선거법 협상과 관련 국민회의가 연내 매듭을 목표로‘소선거구제+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로 자민련을 설득하고 있지만, 자민련이 ‘복합선거구제’관철을 고수하고 있어 여야 타협점 찾기가 쉽지 않다.
국민회의는 현재 선거법 합의를 위해서는 한나라당의 소선거구제를 전제로 한 ‘정당명부제+œ’를 수용해야 하며, 공동여당의 공조를 위해서는 자민련의 안을 받아야 하는 진퇴양난에 빠진 상태다.
더우기 여야 협상이 조만간 이뤄진다 하더라도 선거법 조문화 및 선거구획정 작업 등에 필요한 시간을 감안하면, 연내 처리는 사실상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언론대책문건 국정조사 문제도 총재회담의 길목을 막고 있는 걸림돌이다.
여권은 어차피 이에 대한 국조실시는 물리적으로 어려운 만큼 한나라당 정형근의원에 대한 고소등 상호 제기한 소를 취하하고, 국민회의측이 재발방지를 약소하는 선에서 매듭짓자고 야당측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언론대책문건에 대한 김대중대통령의 해명과 재발방지 약속이 선행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런 걸림돌과 함께 27일 한나라당 이회창총재도 “여야 총재회담 문제가 연일 보도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 청와대와 국민회의측으로부터 한마디 의논이나 제의를 받은 바 없다”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 연내 총재회담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는 분석이다.
이총재의 한 측근도 “올해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뒤엉켜 있는 여야 현안이 가닥을 잡을 수 있겠느냐”면서 “총재회담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선거법등 현안에 대한 여권의 결단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측 한 관계자는 “선거법 협상과 정형근의원 처리문제가 관건으로 남아 있어 연내 총재회담의 성사여부는 아직 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해,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총재회담이 무위로 돌아갈 경우 오는 29일 ‘정쟁지양’을 단독 선언할 방침이며, 여권도 총재회담의 메시지를 대신할 조치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