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실험공간 UZ에서 25명 작가들 새로운 실험 눈길…‘2018 예술정치-무경계프로젝트 4차전 1부-손그림’ 다음달 29일까지

▲ 28698950_2110859859147768_6044249906647271402_o
작가는 독창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며 작품의 고유성을 만들어간다. 전시 방법론에서 ‘아우라’는 이런 작가 개인을 구분하는 의미로 중요한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25명 작가들이 ‘아우라’를 제거하는 새로운 시도를 한다.

수원 실험공간 UZ에서 10일부터 다음달 29일까지 펼쳐지는 <2018 예술정치-무경계프로젝트 4차전 1부-손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권혁, 김결수, 김성배, 김수철, 김희곤, 남기성, 도병훈, 류승희, 박지현, 신영성, 신희섭, 오은주, 오정희, 윤경희, 이수연, 이윤숙, 이익태, 이지송, 정태경, 차기율, 최상용, 최세경, 최향자, 홍영숙, 홍채원 등 25명이 참여했다. 작가들은 각자 자유 주제로 150호 크기의 신작 1~2점을 출품했다. 붓, 볼펜, 목탄, 종이, 천 등을 이용해 손으로 그린 그림을 내놨다.

 

전시장을 채우는 방식이 독특하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전시 목적에 맞춰 작품을 전시하는 방식이 아니다. 작가들이 보내온 그림을 순서나 작품명 없이 벽에 꽉 차게 붙인다.

 

이 작업은 지금까지 작가 개인이 구축해 온 걸 무화(無化)시키는 시도다. 주제와 작품 내용의 관계성이나 공간 개념도 없애버린다.

 

독특한 전시 설명에 대한 설명을 작가에게 직접 들을 수 있다. ‘작가와의 만남’이 매주 주말마다 예정돼 있다.

 

실험공간 UZ 관계자는 “아우라의 고유 요소들을 무화, 무명으로 위치해 작품을 배치한 시도는 최초일 것”이라며 “무경계 안에서 기존 언어로 예술이 되는가에 대한 물음을 제시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문의 010-9431-7437

▲ 1520435323358

손의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