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년 세월 ‘부평경제 심장’ 노후화… 이구동성 “고도화”
지난 2006년 12월 57만명을 돌파해 인천 기초지자체 최다 인구를 자랑한 적도 있지만, 인접지역 개발 가속화 여파로 지난 5월말 기준 인구수 53만1천827명으로 줄어 비슷한 시기 인구 55만명을 돌파한 남동구에 인천 인구 1위 자리를 내주었다. 이처럼 부평지역은 기존 산업시설이 해가 갈수록 진화하는 기술발전에 뒤처지는데다 거주환경이 열악한 도시형 생활주택만 난립하는 등 갈수록 도시 경쟁력이 저하된다는 우려가 크다.
6·13 지방선거 부평구청장에 도전하는 여야 후보들은 부평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새로운 경제성장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 이들 후보는 한국지엠 부평공장과 더불어 오랫동안 부평 경제성장의 중심역할을 해온 부평국가산업단지를 활성화 하겠다며 저마다 공약을 내걸고 정책 경쟁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차준택 후보는 부평국가산단 일대 준공업지역 전환을 통한 신성장산업 유치를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지난 1965년 수출산업공업단지개발조성법에 따라 조성된 부평산단은 무려 50여년의 세월을 거치며 기반시설이 크게 노후돼 산단 재생사업과 기반시설 확충이 필수적이라는 게 차 후보의 견해다.
차 후보는 인천발전연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유관기관과 부평구가 공동으로 연구용역을 실시하겠다는 세부적인 방안을 내놓았다. 이를 근거로 인천시에 부평산단 준공업지역 전환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오는 2020년까지 ICT 등 첨단 디지털 사업을 유치·육성해 인구 유입 등 지역 활성화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자유한국당 박윤배 후보는 침체된 부평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부평산단 고도화를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내놓고 있다. 구가 주도적으로 산·관·학 TF를 조성해 노후된 산단지역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겠다는 게 박 후보의 구상이다.
박 후보는 특히 창업시설 운전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부평산단 내 중소기업을 지원·육성하고 혁신기술을 갖춘 전략사업을 지속적으로 유치해 부평산단의 낙후된 이미지를 대폭 개선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지원비용은 초과 세입분이나 지방교부금 추가지원 신청 등의 방법으로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부평지역에 한해 생계업종 대기업 진출을 억제해 중소기업인 및 소상공인들을 적극 보호하고 중소기업 물류 운영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등 부평지역 생산적인 일거리를 창출하겠다는 방안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