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주거래 고객 유치에 사활

저축은행들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예금금리와 각종 혜택을 제공하면서 ‘주거래 고객’ 잡기에 힘을 쏟고 있다.

 

21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의 경우 이 은행으로 급여를 받고 체크카드를 쓰며 자동이체를 꾸준히 활용하는 주거래 고객은 지난달 말 1만 4천 명을 넘어섰다. 시중은행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이지만 웰컴저축은행 출범 당시인 2014년 5월에 주거래 고객이 사실상 전무했던 것과 비교하면 가파른 성장이다.

 

웰컴저축은행은 정기예금 위주, 오프라인 영업점 중심에서 벗어나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할 수 있고 모바일로 간편하게 접근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관련 상품을 강화했다. ‘웰컴 직장인사랑 보통예금’은 가입 기간, 납입금액에 제한 없이 최대 연 2.5% 금리를 제공한다. 100만 원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고 CMS 자동납부 1건만 하면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정기적금에 가입했을 때 보통예금과 연계된 체크카드를 이용하면 우대금리를 주는 등 젊은 고객을 유인하면서 20∼30대 이용 비율이 71.8%에 달하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 1일부터 자유 입출금 상품인 ‘SBI 사이다 보통예금’ 기본금리를 연 1.0%에서 1.7%로 인상했다. 체크카드 사용실적 등 조건을 충족하면 최고 연 2.6% 금리도 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은 금리 인상 이후 하루평균 약 180개의 새 계좌가 개설됐다. 금리 인상 전 하루평균 70∼90건이던 것에 비하면 2배 빠른 속도다.

 

OK저축은행도 전체 고객의 약 20%를 주거래 고객군으로 분류하고 전담 직원 배치, 명절 선물 제공, 각종 수수료 면제 등 로열티 제도를 준비 중이다.

 

이처럼 저축은행들이 고정 고객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고객 다양화를 위해서다. 그동안 저축은행 예금고객은 대부분 50대 이상에, 높은 금리를 주는 곳에 목돈을 넣어 두고 이자만 기다리는 ‘금리 유목민’이었다. 그러다 보니 1년에 한두 번 영업점을 찾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저축은행에서도 인터넷·모바일뱅킹이 활성화하면서 다양한 고객을 유치할 수 있게 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정기예금 특판 위주로 영업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변화하는 금융 환경에서 저축은행이 살아남을 수 없게 됐다”며 “경제활동이 활발한 20∼40대 고객을 유입하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