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주둔 50년 파주 미래유산 보존 시급하다] 하, 전문가진단

"유·무형 자원 선정 체계적 관리·보존해야"

전문가들은 파주시가 근현대사를 관통한 것으로 다수 시민이 체험하거나 기억하고 있는 사건, 인물 등 이야기가 담긴 유·무형의 자원을 미래유산으로 선정,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ㆍ보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승욱 카이스트 교수(지리학전공)는 “파주는 미군기지와 오랫동안 동행해 와서 풍부한 이야기들이 유형의 건물들에 녹아 지금도 여전히 역사적 사실로 살아 있다”며 “파주사에 자리잡아 발전에 기여했는데도 어두운 변방역사라는 이유만으로 버려져 있어 안타깝다. 없애고 개발하는 것이 아닌 인증 혹은 표식 발급으로 보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파주에서 미기지촌 시설물 및 미군 상대로 한 최초 노조였던 전국 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조합 파주지부 건물 등은 대한민국 외국기관 노동조합 역사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데 기록도 안돼 있고 건축물로도 방치돼 있다”며 “ 평화의 시대에 전쟁으로 잉태한 유산들은 후에 체험적 이야기거리로 활용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파주지역시민단체에서는 미래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파주 미래유산의 가치와 현황, 기타 정보 등을 기록하고 시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파주시가 전수조사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박병수 파주시민참여연대 상임대표는 “미래유산은 문화재가 아니다. 미래세대에 남길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모든 것이다”며 “상당한 미래유산들이 현재 훼손된채 방치되고 있는 만큼 시급히 전수조사를 통해 보존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유산의 체계적인 보호로 관광자원화를 통해 청년일자리 등을 창출해 낼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안소희 시의원(3선 민중당)은 “시 소유 파주 미래유산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해 관련 사업단 또는 민관협력기구가 필요하다”며 “미래유산의 체계적 보호로 이를 관광자원화 하도록 특화거리로 지정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청년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용남 현장사진연구소장(사진작가)는 “사람이 미래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근ㆍ현대적 삶을 자세히 조명해야 한다”며“ 당시 건축물 시설들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상 등을 기록하고 보존해 널리 알려야 미래세대들의 미래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유산을 지속적 발굴 및 기록하고 보존·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례 제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