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는 2022년까지 민간일자리 10만개 만든다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바이오헬스, 소프트웨어(SW), 지식재산(IP) 분야에 걸쳐 민간 일자리 10만 1천 개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내년에 6천18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7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민간 일자리 창출 대책을 논의·의결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가 고령화시대에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분야는 청년고용 효과가 크고, 지식재산 분야는 국가기업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

 

바이오헬스 분야 주관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바이오헬스 벤처창업의 모든 과정을 지원해 2022년까지 연간 창업기업을 900개로 확대한다. 이 분야 우수 인력을 1만 명 양성하고 빅데이터 활용, 정밀·재생 의료 등 미래 신기술을 육성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를 지난해 14만 4천 개에서 2022년 18만 6천 개로 4만 2천 개 늘릴 계획으로 1천881억 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소프트웨어(SW) 주관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SW교육 혁신 모델을 확산하고 4차 산업혁명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확충해 SW 실무 인재를 4만 명 양성할 방침이다. 또 청년 SW 인재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고 SW 고성장기업 100개를 육성하기 위한 집중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2천900억 원의 예산으로 약 2만 4천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식재산(IP) 주관 기관인 특허청은 대학이 IP 교육을 제공한 뒤 일정 조건을 충족한 학생을 기업이 채용하도록 하는 취업연계형 IP 인재양성 사업을 벌인다. 아울러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IP 기반 혁신 성장을 촉진하며 2022년까지 IP 분야 직접 일자리 1만 1천 개, 기업 성장을 통한 간접 일자리 3만 5천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1천406억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이목희 부위원장은 “일자리위원회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