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등반 동호인 추락사고 잇따라…각별한 주의 필요

최근 암벽등반을 즐기는 동호인들의 추락 사망사고가 계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7일 경찰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지난 4일 오후 2시 20분께 남양주시 수락산 내원암장에서 암벽등반을 하던 A씨(55·여)가 약 20m 아래로 추락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목격자에 따르면 A씨는 사고 당시 50m 높이 암벽에서 몸에 고정된 로프를 풀고 약 50cm 옆에 걸려 있던 다른 로프를 자신의 등반 장비에 걸기 위해 시도하는 과정에서 추락했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기존에 고정된 로프를 왜 풀고 다른 로프로 갈아타려 했는지는 설명이 힘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앞선 지난 3일 오후 1시께 도봉산 선인봉 근처에서도 암벽등반을 하던 서울동부지검 전모(56)부장검사가 추락해 숨졌다.

 

사고 당시 전 부장검사는 동료 B씨(49·클라이밍 강사)와 함께 로프를 타고 내려가고 있었다.

 

B씨는 경찰 조사에서 “나무에 로프를 1차로 맸고, 2차 매듭 작업 확인과정에서 갑자기 전화가 와서 받았다”며 “통화 중 갑자기 매듭이 풀리는 소리가 나면서 전 검사가 추락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사고 당시 매듭이 갑자기 풀린 경위에 대해 집중 조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장에서 안전 수칙이 조금이라도 지켜지지 않으면 아무리 숙련자라도 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한다.

 

한 암벽등반 전문가는 “암벽등반 도중 전화 통화는 동호인들 사이에서 절대 금기시될 정도로 위험하며, 하강 중 다른 로프로 갈아타는 행동은 상상조차 힘든 일”이라며 “기본적인 안전 수칙만 지켜졌어도 일어나지 않았을 사고라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번에 사고를 당한 이들은 모두 경력 5년 이상 암벽등반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 관계자는 “로프를 타는 암벽등반은 숙련된 구조대원도 한순간 방심으로 추락할 수 있다”며 “특히 하강 중 방심하거나 자신의 실력을 과신해 안전에 소홀하면 바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히 매뉴얼을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의정부=박재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