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경제여건 우선 기준 장학금 지급 젊은이들 꿈을 위한 희망되고파”

1년에 두 번, 봄ㆍ가을 새학기가 다가올 때마다 대학생들의 관심을 오롯이 모으는 기관이 있다. 전국 400여 개 대학생의 장학금과 학자금을 책임지는 교육부 산하 준정부기관 ‘한국장학재단’이 그 주인공이다. 지난 2009년 설립된 한국장학재단은 ▲고등교육비용 부담 완화 ▲학생복지 향상 ▲미래인재 양성이라는 틀 안에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래의 주인공’인 대학생들을 위해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금을 마련하는 등 일자리 지원에도 힘을 보태며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중이다. 이러한 한국장학재단에 지난 8월 새로운 이사장이 취임하면서 또 다른 혁신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장학재단 이정우 이사장을 만나 재단의 각종 제도 및 경기도 청년들을 위한 지원사업 등에 대해 들어봤다. 

- 한국장학재단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린다.

420명의 직원, 8조5천억 원에 달하는 1년 예산을 갖춘 우리 장학재단은 2012년 국가장학금 제도를 시작한 이후로 매년 지원 규모를 키워나가는 중이다. 또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자금대출 이자도 지속 인하하며 학생들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더하는 기관이다.

- 취임 당시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고등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에 대한 향후 계획은.

장학금의 본래 취지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에게 우선적으로 지급’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꽤 오래 동안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 주어지는 것’이라는 그릇된 개념이 박혀 있었다. 한국장학재단은 이에 대한 인식 개선에 나서고 싶다. 장학금은 경제적 여건을 우선 기준으로 삼아 지급돼야 하고, 성적은 부차적 기준에 둬야 한다는 것을 거듭 강조한다.

-경기도 청년들을 위한 지원사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대표적인 사업은 ‘지자체 학자금대출 이자지원 사업’이다. 이 사업은 지자체가 장학재단에 교부한 예산을 재원으로 해당 지자체에 주소지를 둔 대학생들의 학자금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경기도와 과천시, 성남시, 수원시, 용인시 등 4개 기초지자체가 연간 약 64억 원의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18만여 명의 대학생이 혜택을 보고 있다. 전국적으로 총 32만여 명의 수혜자 중 56% 가량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경기도의 우수한 참여율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

-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고학(苦學)을 뚫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는 것은 무척 행복한 일이다. 또 그게 우리 사회가 발전하는 데 바람직한 일이기도 하다. 우리 장학재단은 ‘장학’이라는 보람찬 업무로 학생들이 역경을 딛고 일어나게끔 꾸준히 돕겠다. 젊은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이 무궁무진하기에 이 꿈을 키우고, 장학 활동으로 희망을 주는 한국장학재단이 되겠다.

글_이연우기자  사진_전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