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업계와 소통·사회적 합의 우선…백지화할 수도”
노조 “진정성 의심”… 민주당 “택시업계, 응답할 차례”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업계와의 소통 재개를 위해 카풀 시범 서비스를 중단키로 했다.
카카오는 15일 입장문을 통해 “택시업계와의 협력과 사회적 합의를 우선으로 해 원만한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한 결정”이라며 시범 운영 중인 카풀 서비스 중단을 발표했다.
이어 “대화에는 어떤 전제도 없으며, 서비스 출시를 백지화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대화에 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택시 종사자들의 후생 증진과 이용자들의 승차난 해소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과 이달 10일 카카오 카풀 반대를 주장하면서 택시기사 2명이 분신 사망했을 때도 “카풀 서비스 중단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한 카카오 측이 닷새 만에 태도를 바꾼 것이다.
카카오가 이같이 갑작스레 입장을 바꾼 이유로는 최근 언론에 보도된 ‘국토교통부 내부문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카카오와 택시업계 간 갈등으로 비쳤던 대결 구도가, 정부와 카카오가 손을 잡고 택시업계와 대립하는 구도로 바뀌면서 카카오가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택시업계는 “진정성이 의심된다”라며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국택시노동조합 관계자는 “카카오와 정부가 택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조성하려다 들키니 카풀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 같은 택시업계의 부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 전면 중단 결정에 따라 정부가 추진 중인 ‘사회적 대타협 기구’ 가동이 가능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와 여당은 카풀 문제 해결과 택시산업 발전을 논의하고자 사회적 대타협 기구 구성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택시업계는 카풀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대타협 기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한 바 있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택시ㆍ카풀 TF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카카오의 결정에 대해 이제는 택시업계가 응답할 차례”라면서 “이번 주말까지 참여 입장을 밝혀주시길 요청한다. 긍정적인 답변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