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3천만원 시대 열린다… 2040년까지 620만대 생산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충전소 1천200개로 확충
2025년까지 10만대 양산 체계 구축… 친환경車 구매보조금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 참석하기에 앞서 수소 활용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수소 경제 벨류 체인 및 친환경 수소생산 부스에서 구영모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기술개발실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 참석하기에 앞서 수소 활용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수소 경제 벨류 체인 및 친환경 수소생산 부스에서 구영모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기술개발실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25년까지 현재 2천대 수준인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10만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2040년까지 620만대로 늘린다. 또한 전국 14곳에 불과해 대중화를 가로막는 수소충전소 숫자도 전국 1천200곳으로 늘린다. 아울러 현재 6천890만~7천220만 원 수준인 수소전기차 가격도 반값 수준으로 낮춘다.

정부는 17일 울산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수소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수소경제진흥법제정…국무총리가 컨트롤타워

로드맵은 6년 후인 2025년까지 수소차 연 10만대의 양산 체계를 갖춰 1대당 가격을 현재의 반값 수준인 3천만원대로 낮춘다는 게 골자이다. 20년 후인 2040년까지는 현재 2천대도 안 되는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620만대로 늘리고, 전국 14곳에 불과한 충전소도 1천200곳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전기차 보급량이 늘어나고 내연기관 차량 수준인 3천만 원대까지 가격이 낮아지면, 2030년까지 약 85만대 정도의 내수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2040년에는 내수 290만대·수출 330만대 등 목표인 620만대 달성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 정부 계산이다.

문 대통령은 울산에서 열린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행사에서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소경제 선도국가’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올해 안에 수소경제진흥법(가칭)을 제정한다. 국무총리가 수소경제의 컨트롤타워가 돼 관련 정책의 이행 상황을 직접 챙기고, 수소경제 액션플랜을 담은 국가수소경제기본계획(가칭)도 에너지기본계획과 같은 법정계획으로 수립을 추진키로 했다.

또 정부는 수소경제 관련 정책을 총괄·조정할 기구로 ‘범부처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두기로 했다. 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장관과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전기ㆍ수소자동차 대대적인 지원책 마련

이와 함께 정부는 올해 친환경자동차 구매보조금 예산을 지난해 3만 2천 대에서 76% 늘어난 5만 7천 대에 지급할 계획이다. 대당 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해 전기자동차 최대 1천900만 원, 수소자동차 최대 3천600만 원,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500만 원, 전기이륜차 최대 350만 원이다.

전기자동차 보조금 중 국비는 지난해 1천200만 원에서 300만 원이 줄어든 900만 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친환경자동차 이용자의 편리한 충전환경을 위해 올해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1천200기, 수소충전소 46개소를 추가로 구축한다. 전기자동차 완속충전기 국고보조금은 공용충전기에 최대 350만 원, 비공용(개인용) 충전기에 130만 원, 과금형(휴대형) 충전기에 40만 원이 지원된다. 다만, 비공용 완속충전기는 올해를 끝으로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다.

친환경자동차 보급사업과 관련해 제기됐던 문제점들도 개선할 계획이다.

완속충전기 보조금 신청 후 3개월 이내에 설치를 완료하도록 해 설치 지연으로 인한 이용자 불편을 해소하고, 대규모 공동주택(1천가구 이상)은 완속충전기 설치 지원을 최대 10기로 제한해 대규모 공동주택에 충전기 설치가 집중되는 현상을 해소한다. 지방자치단체는 1~2월 중 각각 보급사업을 공고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