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철도차량기지 이전’ 깊은 고민

부천·김포 등 5곳으로 이전 추진
노선 연장 불구 ‘소음·분진’ 반발
‘교통복지 담보’ 전략적 접근 필요

▲ 도내 한 차량기지. 기사와 관계 없음. 경기일보 DB

서울시가 철도차량기지 5곳의 경기도 이전을 진행ㆍ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전부지를 활용하려는 서울시의 적극적인 움직임 속에서 도의 ‘전략적 접근’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민의 교통복지를 충분히 담보하지 못하고 이전작업을 진행시 소음ㆍ분진을 일으키는 혐오시설만 ‘유치’하는 꼴이기 때문이다.

17일 경기도와 서울시에 따르면 도는 5곳의 철도차량기지 이전 입지에 대해 서울시, 국토교통부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철도차량기지란 철도의 주차, 정비 등을 수행하는 거점기지다. 서울시 자치구들은 차량기지 이전부지를 활용한 개발 작업을 구상 중이다. 차량기지가 대규모 면적(15~20만㎡ㆍ축구장 20여 개)을 차지하고, 소음과 비산먼지 등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우선 2호선 연장의 일환으로 신정기지 이전(서울 양천구에서 부천으로)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결과가 오는 5월께 도출된다. 2호선 청라 연장을 원하는 인천과 서울이 뜻을 모은 만큼 용역 결과에 따라 사업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5호선 연장 및 방화기지 이전(서울 강서구에서 김포)과 관련, 서울은 건설폐기물 처리장도 함께 이동해야 사업 경제성이 향상된다는 입장이지만 김포는 차량기지에 폐기물 처리장을 얹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4호선 연장(진접선)에 따라 진행된 창동기지 이전(서울 노원구에서 남양주)은 2015년 이미 서류상 착공을 마쳤지만 남양주 진전읍 주민들 반대로 아직 ‘첫 삽’도 못 뜨고 있으며, 서울 중랑구는 신내기지의 남양주 이전을 희망해 사전 접촉 단계를 밟고 있다.

끝으로 제2경인선의 사업비 확보가 구로기지 이전(서울 구로구에서 광명) 배경으로 꼽히면서 국토부ㆍ서울시와 광명 간 대립이 격해지고 있다. 광명은 이전기지 수용의 조건으로 5개 역 신설, 친환경적 기지(지하화) 등을 제시했다. 광명시 측은 서울의 혐오시설 밀어내기 및 시민 피해 보상으로 이 같은 조건은 과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방화기지 사례처럼 서울시가 노선 연장을 담보로 무리한 조건을 내걸고 있어 오는 3월 출범하는 광역교통위원회의 역할 등 대응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