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이 오는 21일 9차 문화정책포럼 ‘기억, 발전, 미래 : 경기도의 3ㆍ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을 개최한다.
2017년부터 진행한 문화정책포럼은 재단의 현안 및 시의성을 띤 문화예술 이슈를 주제로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논하는 자리다.
재단 1층 경기아트플랫폼(gap)에서 열리는 이번 문화정책포럼에서는 경기도에서 펼쳐진 항일운동 및 독립운동의 전개 양상과 의의 등을 살펴보고, 재단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해 소개한다.
포럼의 첫 번째 발제자인 이지훈 재단 경기학연구센터장은 ‘3ㆍ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역사적 의미 ? 경기도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이 센터장은 도내 전 지역에 걸쳐 농민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던 경기도 3ㆍ1운동의 전개와 특징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째 발제자인 조병택 재단 문화사업팀장은 도와 재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3ㆍ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의 배경, 방향, 내용 등에 대해서 발제한다. 조 팀장은 타 지자체 및 기관에서 진행할 동일한 명칭의 기념사업과 도와 재단의 사업이 지닌 차별성 등에 대해서도 설명할 예정이다.
마지막 발제자인 하상섭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전반적인 소개와 현황, 전망에 대해서 논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19세기 중엽부터 조선을 떠나 해외에 거주하기 시작한 한민족의 이산을 의미하는데, 구한말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이주가 일본의 조선 침략 이후에는 정치적 이주의 양상을 띠게 됐다.
발제가 끝난 후 발제자들과 김성환 재단 정책실장, 김도형 독립기념관 연구위원, 김락기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역사센터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심층적인 토론을 이어간다. 포럼의 발제와 토론 내용은 추후 <문화정책>블래틴 9호에 실릴 예정이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