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1곳 연기·30곳 무응답… 시교육청, 돌봄기관 확대 고심
수도권 교육감 “휴업 철회 않을 땐 한유총 설립허가 취소 진행”
사립유치원단체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개학연기를 강행키로 하면서 인천지역 일부 유치원 돌봄 서비스에 초비상이 걸렸다.
3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지역 227개 사립유치원 중 북부교육지원청 관할 A유치원이 개학을 연기했으며, 교육당국의 전수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유치원이 30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원아 300명 규모인 A유치원은 개학일을 당초 6일에서 8일로 변경하는 대신 자체 돌봄서비스는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전수조사에 응답하지 않은 유치원 30곳 대부분이 남부교육지원청과 서부교육지원청 지역에 집중돼 시교육청이 마련한 1차 돌봄 거점기관만으로는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기 어려울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남아 있다.
남부교육청은 미추홀·중·동구와 옹진군을, 서부교육청은 계양·서구를 담당하는데 현재 남부 11곳·서부 19곳 등 30곳의 유치원이 개학일 연기에 대해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1곳의 유치원당 100명의 원아가 다닌다고 가정하면 3천여명이 갈 곳을 잃을 수 있다.
시교육청이 긴급하게 마련한 1차 돌봄 거점기관의 수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남부의 경우 공항·영종·용학초병설 유치원 등 3곳에서 총 26명을 수용할 수 있을 뿐이다. 서부는 검암유치원 등 8개 유치원 170명, 서구 백석동 유아교육진흥원 120명 등 290명의 원아를 수용할 수 있지만, 무응답 유치원 수(22곳)에 비해 수용비율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시교육청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한 2차 대응책으로 일선 군·구의 협조를 얻어 돌봄 기관을 어린이집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서둘러 시행하는 것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특히 이번 한유총 사태에 대비해 돌봄전담사를 일선 자택으로 보내는 3단계 돌봄 대응책도 검토중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무응답 유치원이 남부와 서부교육청 지역에 집중된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며 “무응답 유치원 전부가 개학연기를 강행한다고 볼 수 없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과 이날 오후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한유총이 무조건 적인 에듀파인 수용과 집단 휴업 철회를 비롯해 진정성 있는 자세를 보이지 않는 한 일절 협상하지 않겠다”며 “민법 제38조에 의거해 한유총의 설립 철회를 진행할 것”이라며 강경 대응 의지를 밝혔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