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동환 목사가 지난 9일 오후 별세했다. 향년 98세.
문 목사는 일제강점기이던 1921년 5월 5일 북간도 명동촌에서 독립신문 기자로 일했던 부친 문재린 목사와 여성운동가였던 김신묵 여사의 3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늦봄 문익환 목사, 윤동주 시인 등과 함께 성장하며 어려서부터 민족과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삶에 뜻을 뒀다.
1938년 은진중학교를 졸업하고 도쿄신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하다 광복 후 돌아와 서울의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 전신)를 졸업, 1951년 미국 하트퍼드 신학대학에서 종교 교육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1년 모교인 한국신학대학 신학과(종교교육전공) 교수로 재직하면서 그해 12월 미국 유학 중 만난 헤리엇 페이 핀치백(문혜림) 여사와 결혼했다.
이승만에서 박정희로 이어지는 독재정권의 부조리함을 설파했으며 1976년 명동성당에서 ‘3.1 민주구국선언문’ 사건으로 투옥돼 2년 가까이 복역했다. 석방 후에는 민중운동에 참여했고 동일방직 및 와이에이치(YH) 노조원의 투쟁을 지원하다 다시 투옥되기도 했다.
1979년 10·26 사건으로 유신정권이 막을 내리자 한신대에 복직했으나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다시 해직돼 미국으로 망명을 떠났다.
미국에서 한국의 민주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과 더불어 목회 생활을 하다가 1985년 귀국해 한신대에 다시 복직했다.
1986년 한신대에서 정년퇴임을 한 후 재야에서 민주화 활동을 하던 중,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평화민주당에 입당, 평민연(평화민주통일연구회)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1988년에는 국회에 진출해 평화민주당 수석부총재를 지냈고, 국회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했다.
이후 1991년 미국으로 돌아가 노년을 보내면서 젊은 목회자들과 함께 성서 연구에 주력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아들 창근·태근, 딸 영혜·영미(이한열기념관 학예실장)씨 등이 있다. 영화배우 문성근씨가 조카다.
빈소는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12일 오전 8시. 장지는 마석 모란공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