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34명 위촉… 48명 규모
올해 69곳 ‘현미경 감사’ 방침
200명이상 유치원은 직접 감사
인천시교육청이 감사 인력을 확충해 유치원 비리 근절에 나선다.
1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다음 주 중으로 시민감사관 34명을 새로 위촉하고 지난해 뽑힌 14명을 합쳐 올해 총 48명의 시민감사관을 운용한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해 말 유치원 감사 주기를 현행 5~6년에서 3~4년으로 줄이고 감사 기간은 2~3일에서 3~4일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유치원 비리 근절 대책을 발표했다.
유치원 비리 근절 대책에 따라 아직 감사를 하지 않은 유치원 31곳과 2014년 이전에 감사한 유치원 38곳 등 총 69곳에 대한 감사를 2019년까지 모두 마치겠다는 게 시교육청의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원생이 200명 이상인 대형 유치원 35곳에 대해서는 담당 교육지원청 대신 직접 감사에 나선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처럼 늘어난 감사 행정보다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은 문제다. 현재 시교육청(27명)과 산하 5개 교육지원청에는 60명 안팎의 감사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유치원의 경우 특정 사안이 발생했거나 교육부 지시에 따라 이뤄지는 특정 감사를 맡고, 정기적인 재무 감사는 5개 교육지원청이 담당한다. 인천 지역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시교육청 직속 기관에 대한 감사도 이들 인력이 모두 맡고 있다.
다만, 그동안 시민감사관 활동이 학교 급식이나 방과 후 과정 감사 등을 맡았던 만큼, 유치원 감사에 활용하려면 전문성을 보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점은 숙제로 남았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유치원 비리 근절 대책 이행 등 늘어나는 감사 행정을 원활히 수행하고자 시민감사관을 확대해 운영키로 했다”며 “유치원에 대한 감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인 만큼 이에 대한 시민감사관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시교육청은 지난 2009년 제정된 시민감사관 구성·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외부 인사를 무보수 명예직인 시민감사관으로 선발해왔다. 조례는 시민감사관을 최대 50명까지 둘 수 있게 했지만, 그동안은 대략 40명 안팎으로 운영됐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