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도내 학급 일본 전범기업 제품 인식표 부착 추진

경기도의회가 경기도 내 학교에서 사용하는 일본 전범기업 제품에 인식표를 부착하도록 하는 조례를 추진한다. 학교 일선에서부터 역사왜곡을 자행하는 일본 전범기업 제품 구매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겠다는 방안이다.

17일 도의회에 따르면 제2교육위원회 소속 황대호 의원(더불어민주당ㆍ수원4)은 ‘경기도교육청 일본 전범 기업 제품 표시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발의하고 지난 15일 입법예고했다. 해당 조례는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제334회 임시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이 조례안은 일본 전범기업들이 공식적인 사과나 배상은커녕 역사를 부정하고 미화하는 데 협조하고 있어 학생들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시키고 교직원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자 마련됐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해당 전범기업 제품에 인식표를 부착하는 방안을 담았다.

특히 이번 조례안은 전범기업에 대한 정의, 조례 적용 기관과 대상, 교육감의 책무, 실태조사, 전범 기업에 대한 인식 제고 문화조성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했다. 전범기업이란 2012년 국무총리실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발표한 도시바, 히타치, 가와사키, 미쓰비시, 스미모토 등 299개 일본기업이다.

앞서 황 의원은 이와 관련 도내 각급 공립학교 실태조사를 발표했으며, 빔프로젝터 일본제품(전범기업 포함)이 전체의 4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일본제품은 카메라 56%, 캠코더 70% 등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서울시의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홍성룡 시의원이 최근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교육청 일본 전범기업과의 수의계약 체결 제한에 관한 조례안’을 발의한 바 있다.

황대호 의원은 “대일항쟁기 당시 강제동원 등으로 대한민국 국민에 피해를 끼쳤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사과와 배상을 하지 않는 일본 전범기업의 행태를 명확히 인식하고자 조례를 마련했다”며 “전범기업 제품에 대한 명확한 표시를 통해 학교에서부터 경각심을 가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