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이용시설 비상전원 확보… 음성 조기경보 추가 설치도
경기도가 경주ㆍ포항 지진에 이어 최근 동해안에서도 지진이 잇따르자 지진 대응시스템을 확충하는 대책 마련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다중이용시설 안에서 지진이나 화재로 정전되는 상황에서도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전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 도는 지난 2월 이동통신 3사, 한국전파진흥협회와 ‘이동통신 비상전원 확보’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신축 건물에도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이는 지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정전으로 이동통신 중계기 작동이 멈춰 휴대전화가 먹통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도내 531개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한 중계기 비상전원 확보 공사는 올 연말 완료를 목표로 지난 2월부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도는 이런 통신두절 방지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할 계획이다. 또 도는 지진 발생 상황을 실시간 음성으로 안내하는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을 시ㆍ군 청사를 비롯한 공공시설에서 민간 다중이용시설까지 확대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기상청 차원의 지진 안내문자와는 별도로, 기상청 경보를 실시간 수신해 구내방송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전파하는 방식이다.
특히 경기도 음성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대피용인 기상청 경보와 달리 초동 단계에서 구조 장비와 인력 투입에 필요한 비상 대응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경기도 각 소방서와 도 산하기관 등 71개 공공기관에 이미 설치돼 있고, 29개 시ㆍ군 청사를 비롯한 48개 공공시설에 추가 설치하려고 예산 확보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지진 등 재난 발생에 대비하고자 광주시 곤지암읍에 동부권 방재물품지원을 위한 광역방재 거점센터를 지난해 5월 설치했다. 또 재난 상황에서 도민들이 손쉽게 접근해 사용할 수 있는 방재물품을 비축하는 방재비축창고 65곳도 설치 중이다.
도 관계자는 “망 연결과 관련해 여러 기술 연구 및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다양한 채널과 방식을 통해 경보 시스템을 확충하는 만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일 오전 11시 16분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3 지진으로 강원 전역이 흔들렸다. 이어 22일 오전 5시 45분께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38㎞ 해역에서 3.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