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13만 대 보급하면 일자리 4만3천 개 생긴다”…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소나무 1억7천만 그루

경기도가 경부고속도로 안성휴게소에 개방형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는 등 수소차 시대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도가 수소차 13만 대를 보급할 경우 일자리가 4만 3천 개 창출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의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충전 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1단계 도입기(2019-2022년)에 6천 대, 2단계 성장기(2023-2025년)까지 5만 2천 대, 3단계 성숙기(2025-2030년)까지 총 13만 대를 보급하는 수소차 보급 로드맵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도가 로드맵에 따라 수소차 보급을 완료하면, 4만 3천 명의 일자리창출과 1조 5천억 원의 경제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3억 4천 리터의 가솔린 대체효과, 35만 1천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으며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도 소나무 1억 7천만 그루가 흡수할 수 있는 양인 507t 감축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수소차 보급 추세에 발맞춰 수소충전소를 2022년까지 27개소, 2025년까지 110개소, 2030년까지 총 150개소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도가 수소차충전소를 이 같이 확충하려면 매년 약 416억 원의 도비를 투입해야 한다.

다만 타 지자체에 비해 부족한 구매 보조금과 시ㆍ군의 저조한 참여율 등은 넘어야 할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부산, 경남 등의 지자체는 현재 국비 지원금 2천250만 원에 시ㆍ도비 지원금 1천~1천250만 원가량을 지원하고 있지만, 도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또 도가 도내 시ㆍ군을 대상으로 수소충전소 구축계획에 대해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 의지를 보인 시ㆍ군은 9곳에 그쳤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수소충전소 구축방안으로 ▲31개 시ㆍ군별 수소충전소 설치 후보지 수요조사와 DB 구축 ▲수소충전소 입지제한 및 이격거리유지 규정 완화 ▲대도시 도심지나 교통 요충지에 홍보용 수소충전소 설치ㆍ운영을 통한 안전성 홍보 강화 ▲수소 인프라 전담조직 및 예산확충 등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를 맡은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경기도의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예산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