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 활동지원 하루 4시간 혜택
이용자 해마다 느는데 대책 제자리
추가로 서비스 받으려면 자비 부담
“중증장애인을 위한 활동보조 지원폭이 확대돼야 합니다.”
20일 오후 인천 남동구 서창동 한 마트.
1급 뇌병변장애인 이상국씨(48)가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아 식료품을 고르며 행복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온종일 집안에만 갇혀 지내던 이씨가 이날 활동지원사와 함께 마트를 찾아 자신이 좋아하는 채소를 사러 왔기 때문이다.
이씨는 “활동지원사 도움 없이는 물조차 마시기 어려운 게 중증장애인의 현실”이라며 “사명감 없이 일하기 어려운 활동지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늘어나 많은 장애인이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발달장애 1급 판정을 받은 김민우씨(가명·31)는 가족이 활동지원사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정신연령이 어린아이 수준인 김씨는 가족이 있다는 등 이유로 정부의 활동지원서비스 시간이 하루에 약 4시간 정도밖에 안 돼 나머지 시간은 가족의 돌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김씨는 활동지원사를 이용하려면 사비를 들여야 하는 부담이 든다.
김씨의 부모는 어쩔 수 없이 일을 그만둬야 했다.
이처럼 혼자서 생활하기 어려운 중증장애인은 늘고 있지만, 이들의 외출이나 활동을 돕는 활동지원사 등 활동보조 지원이 부족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인천에서 활동보조 서비스를 이용한 장애인은 4천600여 명으로 지난해 대비 300명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장종국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무국장은 “일상생활이 전혀 안 되는 분들이 활동지원 인정점수 380점 이상을 받지만, 하루로 계산하면 4시간꼴이라 지원이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결국, 활동시간이 결정되는 구조에 당사자나 가족의 의견반영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관우ㆍ이유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