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전 세계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독보적인 선두 자리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고속 성장을 이어가는 올레드 패널 시장에서는 80% 이상의 점유율로, 사실상 ‘유아독존’ 체제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됐다.
17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올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34억 5천396만 달러(약 4조 947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40.2%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지난해 1분기(46.8%)와 전분기(41.8%)보다는 점유율이 다소 떨어졌으나 2위인 재팬디스플레이(JDI)(10억5천936만달러·12.3%)를 큰 차이로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이로써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17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으로 40% 이상의 글로벌 점유율을 이어나갔다. 올 2분기에도 점유율이 42.5%에 달하면서 선두를 굳힐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디스플레이에 이어 2위권은 격전을 벌이고 있다.
3위인 중국 BOE가 점유율 11.9%를 차지하며 재팬디스플레이를 턱밑까지 추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BOE의 점유율은 6.5%로, 재팬디스플레이(12.4%)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플렉시블 올레드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1년 만에 추월을 눈앞에 뒀다.
또 중국 톈마가 최근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 생산을 늘리면서 점유율을 8.1%까지 끌어올렸고, 일본 샤프(8.0%)와 LG디스플레이(7.8%)가 그 뒤를 이었다.
이처럼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위권 업체들이 엎치락뒤치락하는 것은 최근 올레드 패널 채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와 미국 애플에 이어 오포, 비보,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프리미엄 제품에 올레드를 잇따라 적용하면서 중소형 올레드 패널 생산 능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IHS마킷은 스마트폰용 올레드 출하가 올 1분기 9천77만 개에서 2분기에는 1억 981만 개로 처음 1억 개를 넘어선 뒤 3분기에는 1억 2천164만 개에 달하면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스마트폰용 올레드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올 1분기 무려 86.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독주 체제를 굳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BOE가 8.3%의 점유율로 LG디스플레이(3.0%)를 제치고 처음 2위로 올라섰다.
업계 관계자는 “올레드 패널은 얇고 형태 변화가 자유로운 데다 전력효율도 높아 모바일 기기 시장에서 급속도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며 “재팬디스플레이 등 LCD가 주력인 업체들의 입지는 더 약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