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쉬운 경제이슈] 4차 산업혁명

누구나 한번쯤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의 이해’라는 주제가 등장한 이후 4차 산업혁명은 세계적인 화두가 됐다. 하지만 미국 경제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지금은 여전히 디지털 혁명 중”이라며 “4차 산업혁명은 오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사실 4차 산업혁명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언제 도래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 간명한 답을 찾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은 무엇일까. 세계경제포럼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은 4차 산업혁명을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과 디지털기술의 결합, 융합이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으로 나타나는 기술혁명으로 정의했다. 즉, 4차 산업혁명은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로 진화하는 혁신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것이다.

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그것이 우리가 영위하는 삶의 방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때 붙일 수 있는 개념이다. 1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2차 산업혁명은 전기와 대량생산으로,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기술로 우리의 삶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연결’과 ‘융합’이다. 전문가들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과학기술이 융합되어 개인뿐 아니라 기업, 경제, 사회에 혁신적인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고 내다본다. 기술 융합이 기존의 일하는 방식이나 소비형태, 생활방식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다.

실제로 세상은 이미 초연결사회가 되면서 플랫폼 기반 사회와 경제로 변화하고 있다. 재화나 공간, 경험과 재능 등을 다수가 빌려주고 나눠 쓰는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인 공유경제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 그 예다. 특히, 스마트폰 앱으로 서비스 이용자와 제공자를 연결해주는 새로운 비즈니스가 발달하게 되었는데, 우버(Uber)가 대표적이다. 우버는 차를 가진 개인과 차가 필요한 이용자를 스마트폰 앱으로 연결해 비즈니스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이제는 이 모델이 모든 서비스로 확대되면서 ‘경제의 우버화’라고까지 부르는 주문형 디지털 경제가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우리의 경제, 사회, 문화 모든 측면에서 거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작됐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흐름으로 보인다. 패러다임 전환기에는 기회와 동시에 위기도 찾아온다.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으로는 기술혁명에 따른 일부 일자리의 소멸, 새로운 직업군 탄생 등 노동시장의 변화, 소득과 기술격차 확대 등으로 우려되는 사회적 갈등 확대 등 부정적인 측면도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논의와 충분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다.

조영화 한국은행 경기본부 기획금융팀 과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