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화 방안 수립용역 결과 중 사업 적자 폭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19일 시 등에 따르면 사업화 방안 용역 보고서에는 내항 마스터플랜에서 제시한 공공용지비율 47%를 준수할 때 약 1천억원의 사업 적자가 예상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사업성은 전국에서 추진한 개발 사업의 평균을 따져 산출했다.
이에 시는 용역 당시 사업 적자 폭을 너무 크게 설정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부지 매각을 통한 수익을 너무 낮게 잡았다는 이유에서다. 개항장 인근에서 다양한 재생 사업이 이뤄져 땅값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에 부지 매각에서 발생하는 예상 수익을 더 높게 잡아야 한다는게 시의 설명이다. 또 시는 인천에서 추진한 개발 사업과 비교해도 1천억원의 적자 폭은 너무 과장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업 적자 폭을 놓고 기관 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사업화방안 용역 준공은 당초 준공 시점인 17일을 넘긴 지금까지도 이뤄지지 못했다.
시와 LH는 용역 준공 이후에도 이번 용역에서 도출한 적자폭에 대해 검증할 방침이라 기관 간 갈등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적자폭은 전체적인 사업 방향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LH는 1천억원의 적자를 근거로 시비 투입, 용적률 증가, 용지 변경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시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다면 굳이 LH가 사업 시행을 맡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19일 실무 협의를 통해 일단 용역을 준공하자고 합의한 상황”이라며 “사업성 재산출, 사업 적자에 따른 LH의 요구 사항 등은 앞으로 이어질 협의 과정에서 다뤄질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화 방안 수립용역은 시, LH, 인천항만공사(IPA)가 공동 추진했지만 내항 마스터플랜을 반영하고자 2018년 중단된 후 지난 3월 재개됐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