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늘어나는 위기학생, 체계적 관리 절실하다

경기도교육청 학생위기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경기도내 위기학생은 7만1천411명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극단적 선택으로 목숨을 잃은 학생이 43명(초 2명, 중 15명, 고 26명)이다.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거나 자해 경험이 있는 학생도 1천233명이나 됐다. 2017년 276명에서 1년 새 4배 이상 늘었다. 또 아동학대 피해 학생 8천333명, 학업중단 학생 1만5천576명, 학교폭력 피·가해 학생 1만9천517명, 정서·행동특성검사 관심군 학생 2만6천709명 등으로 조사됐다.

‘위기학생’은 가정, 정신건강,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로 학업중단의 위험에 처해 있거나,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어렵게 하는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다. 이런 위기학생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사회ㆍ환경적 요인이 크다.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라나는 것을 방해하고 위협하는 요소가 많다는 얘기다. 위기학생 통계를 보면 이혼 가정, 한부모 가정, 저소득 가정의 학생이 많다. 유명인들의 극단적 선택 사례가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런 극단적 선택 시도나 자해가 SNS 등으로 쉽게 공유되는 것도 문제다.

도교육청은 위기학생의 체계적 관리와 예방을 위해 2017년 교육감 직속 학생위기지원단을 출범시켰고, 올해는 이를 전국 최초의 ‘학생위기지원센터’로 확대ㆍ설치했다. 위기학생 관리 및 치료, 교직원과 학부모 연수, 가이드북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인력도 부족하고 인프라도 부족하다.

도내 학교의 절반가량은 상담교사조차 없다. 2천개 넘는 학교 중 전문 상담교사를 둔 학교는 700곳뿐이다. 도교육청이 교사가 아닌 전문 상담사 370명, 교육복지사 120명을 추가로 지원했지만 여전히 절반은 상담 인력이 전무하다.

고위험군 위기학생의 절반이 부모 거부로 전문 상담이나 치료를 못 받는 것도 문제다. 정서행동 특성검사를 통해 관리와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으로 드러났는데도 상당수가 부모 반대로 방치되고 있다.

위기학생의 치료와 교육을 병행하는 시설도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난 4월 전국 처음으로 ‘진단, 상담, 교육 치료’를 한 곳에서 진행하는 병원형 Wee(We·Education·Emotion)센터를 도내 4곳에 구축했지만, 2개월 만에 수용 정원이 모두 차 대기자가 줄을 섰다. 올해 4곳을 추가한다는데 그래도 부족한 상황이다.

위기학생들이 늘어나는데 그냥 방치해선 안된다. 위기학생에 대해 초기 담임교사의 대응과 친구, 가족 등 주변 관심이 중요하다. 가능한한 빨리 상담, 치료, 관리 등을 받도록 해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게 해야 한다. 학교마다 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전문 센터도 확충해야 한다. 위기학생에 대한 체계적ㆍ전문적 관리가 절실하다. 국가 차원에서 좀 더 적극 나서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