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대통령이 이라크 정책 변화 가능성을 내비친 가운데 이라크 정책대안을 마련중인 `이라크연구그룹(ISG)' 관계자들과 13일 회동을 가질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ISG는 지난 3월 이라크사태가 악화되자 공화당의 프랭크 울프 상원 의원이 제안, 새로운 이라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의 승인을 거쳐 구성됐다. 공화당 및 민주당 인사 10명으로 이뤄진 초당적 기구로 제임스 베이커 전 국무장관(공화)과 리 해밀턴 전 의원(민주)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9.11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건의했던 `9.11위원회'가 모델이 됐다.
ISG는 출범 초기만 해도 워싱턴 정가의 눈길을 크게 끌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번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 부시행정부에게 이라크 정책 노선수정을 강력히 압박하고 있고, 부시 대통령이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을 경질하고 후임으로 이 위원회 소속 로버트 게이츠 전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발탁하면서 관심의 핵으로 부상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미 ISG의 권고안을 적극 수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ISG가 부시 행정부의 새로운 중동정책의 산실로 주목을 받고 있다.
ISG와 부시대통령의 회동에선 새로운 이라크 정책의 윤곽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공화당측 참여인사들은 대부분 부시가(家)와 인연이 깊다는 특징이 있다.
베이커 전 장관은 아버지 부시 밑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했고, 로런스 이글버거 전 국무장관은 아버지 부시 대통령 시절 국무부 부장관과 국무장관을 지냈다.
샌드라 데이 오코너 전 대법관은 지난 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때 대법관에 임명돼 아버지 부시를 거쳐 지난 2005년 부시 대통령 때 퇴임했다. 이밖에 이란통인 에드윈 메시 전 법무장관과 앨런 심슨 전 상원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베이커 전 장관은 일각에서 조만간 부시 대통령이 임명할 `대북조정관'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하지만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반면, 민주당측 참여인사들은 클린턴 행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해밀턴 전 의원은 지난 92년 대선 때 클린턴의 러닝후보로 한때 거론됐던 인물로 2001년 9.11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했고, 버넌 조던은 클린턴 행정부에서 자문역을 맡았으며 레온 파네타도 클린턴 때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냈다.
윌리엄 페리는 클린턴 때 국방장관을 지냈으며 퇴임후엔 `대북조정관'에 임명돼 `페리보고서'를 작성.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찰스 롭 전 상원의원(버지니아주)은 린든 존슨 대통령의 사위로, 2004년 이라크정보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ISG는 13일 부시 대통령, 딕 체니 부통령,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난 뒤 토니블레어 영국 총리와 화상토론을 갖고,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리처드 홀브룩 전 UN대사, 샌디 버거 전 국가안보보좌관 등 민주당측 인사들에게도 자문을 구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