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교육 실태조사와 함께 금융교육 종합방안을 마련한다고 5일 밝혔다.
우선, 올해 8월~10월, 민간기관을 통해 ‘금융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을 일반 국민, 교육경험자, 교육주체로 세분화해 현행 금융교육에 대한 평가, 교육수요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금융교육의 체계화·효율화를 위해 ‘금융교육 종합방안’을 12월 마련한다.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 금융수요 및 그에 따른 중장기 교육전략 및 세부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고령층의 디지털 환경 적응, 청소년의 금융사기 등 불법금융에 따른 피해 예방 등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금융위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대두하고 있는 고령층의 디지털금융 소외, 청소년 온라인 도박 관련 불법대출 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방안으로 금융교육의 중요성이 커지자 이 같은 대책을 내놨다.
금융교육이란, 금융소비자가 건전한 금융생활을 통해 장기적으로 금융복지(financial well-being)를 누릴 수 있게 하려고, 금융 관련 지식을 이해하고 올바른 태도를 보이고서 금융생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국내 금융교육은 양적으로는 상당히 확대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나오며 현행 교육이 고령층, 청소년 등 생애주기별로 겪는 금융문제를 스스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금융위는 이 같은 의견을 반영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2018년 12월~2019년 3월까지 “민·관 합동 금융교육 TF”를 운영해 전문가 의견을 광범위하게 들어왔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요 선진국들은 금융 문맹(文盲)이 과잉 부채, 파산 등을 일으킨다는 인식에 따라 금융교육을 강화하고 있다”라면서 “국내에서는 금융교육이 양적으로는 상당히 확대돼 왔으나 현장에서는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