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한강 하류에서 조업하는 어민들이 서울시의 오염된 하수 한강 무단 방류를 주장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오염수로 인해 한강생태계에 심각한 변화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매년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감수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한강살리기어민피해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오전 10시 행주나루 선착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난지·서남물재생센터가 한강 하류에 심야를 틈타 분뇨와 하수를 무단 방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강 하류의 수질오염은 서울시의 책임”이라며 “물고기들의 등이 굽고 실뱀장어를 폐사시키는 붉은 끈벌레가 폭증해 조업을 못 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또 “서울시가 항상 수질이 양호하게 측정되는 내부 관로에서 측정한 결과를 최종 방류수 농도인 것처럼 발표하며 눈속임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관할 수협인 경인북부 수산업협동조합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성명서 낭독을 마친 비대위 소속 어민 30여명은 어선 17대를 몰고 여의도까지 선상 시위를 벌였다.
어선에는 서울시 규탄 외에도 최근 일본 아베정부의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혁수막도 내걸렸다.
이들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후문에 도착해 서울시를 규탄하는 구호를 외쳤다.
앞서 올해 고양시가 5억여 원의 예산을 들여 인하대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에도 한강 하류 물고기에서 합성 화학 성분이 검출됐으며 서울시 방류수에서도 같은 물질이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원인규명 등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아 어민들은 원인 규명에 대해서도 계속 요구 중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방류수는 매시간 별로 수질이 측정되는 등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어 오염수가 방출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비대위는 지난 2015년과 2016년에도 ‘서울시 물재생센터의 상습적인 오염수 무단방류 방지’를 요구하며 선상시위를 벌였다.
고양=유제원ㆍ송주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