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15일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서울시 강북구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에 있는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를 참배했다. 이 총리는 지난 1월 손병희 선생 묘소와 2월 백범 김구 선생 묘소, 3월 한용운·오세창 선생 묘소를 참배한 데 이어 대한민국 국무총리로서는 처음으로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를 참배했다.
이날 참배는 광복절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애국선열들을 기리기 위해 이뤄졌으며 이병구 국가보훈처 차장, 박겸수 강북구청장, 이시영 선생 유족 등이 함께했다.
광복군 합동묘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거나 순국한 17위의 합동묘다. 중국에서 무장독립투쟁 활동을 하던 광복군의 유골을 동료가 수습해 귀국한 후 후손이 있는 경우 국립묘지에 안장했으나 후손이 없어 안장되지 못한 선열을 위해 지난 1967년 한국광복군동지회에서 합동묘를 조성했다.
성재 이시영 선생은 서울 출생으로 지난 1905년 신민회를 조직해 구국운동을 벌였으며, 1910년 가족 50여 명을 이끌고 중국 유하현(柳河縣) 추가가(鄒家街)로 망명했다.
이후 1911년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을 주도하고 1912년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발전시켰다. 지난 1919년에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 법무총장, 재무총장 등을 지냈다. 이에 대한 공훈을 인정받아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았다.
국무조정실은 “그간 국가차원의 관리가 미흡했던 국립묘지 외 독립유공자의 묘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관련해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 주기적 실시, 묘소 정보 시스템 개발, 합동묘역의 국가관리묘역 지정·관리, 묘소 미확인 독립유공자 유족 DNA 채취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해인·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