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난개발 등 우려로 반대
나눔의 집은 우회로 제시했지만
광주시, 과도한 사업비로 난색
“내달 말까지 합의 안될 땐 철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인 광주 ‘나눔의 집’이 진입로 확장을 추진 중인 가운데 주민들이 난개발 야기 등을 이유로 반대하며 설계가 중단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방도 325호선에서 나눔의 집(퇴촌면 원당리)까지 진입로는 총 900m 길이다. 이 도로는 폭이 3∼6m로 일정치 않아 일부 구간에서는 차량교행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는 올해 초 국비(특별교부세) 19억 원을 확보해 전체 900m 구간을 폭 8.5m로 확장, 왕복 2차로와 편측(한쪽) 보도를 설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계획을 주민들이 반대하며 지난 6월 설계가 중단된 상태다.
주민들은 도로 폭이 6m 이상이 될 경우 광주시 조례에 따라 빌라 건물과 물류창고 등이 들어와 난개발을 부를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또 해당 진입로가 붐비는 때는 3ㆍ1절과 광복절 등 1년에 몇차례 되지 않는데다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반대 이유다.
이에 시는 진입로 중간중간에 교행 구간을 만드는 방안과 포켓 주차장을 만들어 교행 장소로도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 주민들과 협의 중이지만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진입로 초입의 환경부 소유 땅에 주차장을 짓고 나눔의 집 방문객들을 도보로 이동하게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나눔의 집 측이 반대하고 있다.
반면 나눔의 집측은 기존 진입로와 별개로 퇴촌면 정지리 마을에서 들어오는 우회도로 개설 방안을 제시했지만 시는 터널 공사에 따른 사업비 과다와 환경 훼손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퇴촌면 원당리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 탓에 난개발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주장도 일리가 있는 부분이 있고 강제수용에도 어려운 점이 있다”며 “내달 말까지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진입로 확장사업을 철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