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산후풍 예방과 치료

한의 치료가 양방치료보다 우월한 대표적 질환이 많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산후풍이다. 서양의학에는 산후풍이라는 병명이 없다. 환자는 시리고 너무 불편한데, 병원에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서러운 질병 중의 하나인 것이다. 이처럼 산후풍이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계 여성에게 잘 나타나는 것은 인종과 지리적인 특징의 영향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산후풍은 출산 후 온몸의 관절, 근육, 인대는 물론 땀구멍이 늘어나고 열려 이 기간에 찬바람이나 찬 기운에 노출되면, 마치 몸살감기에 걸린 것처럼 온몸이 으슬으슬 춥기도 하고 몸의 일부가 특별히 시리거나, 허리, 무릎, 발목, 손목 등 관절에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한다. 또한, 팔다리가 저리거나 어깨나 뒷목이 아프기도 하고, 별다른 이유 없이 땀이 흐르면서 몸이 무기력해지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욕이 크게 저하되는 증세도 나타나게 된다.

출산 후에 시작된 이 산후풍 증상이 수년 이상 장기화되고 고질화돼 내원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안타깝게도 우리의 어머니 세대에서는 이렇게 산후풍으로 오랫동안 고생하신 분들이 많았다.

다만, 실제 임상에서는 단순히 출산으로 한정 짓는 것이 아니라, 유산을 포함하여 임신을 경험한 여성이 추위를 타고 신체통을 호소하는 것을 통틀어서 산후풍으로 이해하고 치료한다.

산후풍은 불치의 병은 아니어서 침ㆍ뜸ㆍ추나요법ㆍ한약 등 한의약 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는 있지만, 조기에 치료해야 시간과 비용을 덜 들이고 고생도 덜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최선의 방책은 산후 조리를 잘해서 산후풍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조리를 잘하려면 생활에서의 조리와 한약으로 하는 조리, 두 가지를 잘해야 한다.

산후 6~8주간의 산욕기뿐만 아니라 100일이 될 때까지는 산후조리기간임을 명심하고 무리한 일을 피해야 한다.

산후조리한약은 산후풍을 예방하는데 필수적으로 중요하다. 출산 후 초기에는 생화탕, 궁귀탕, 등의 처방으로 어혈을 풀어주고, 산후 3주일 이후에는 보허탕, 팔진탕 등 산모의 관절 근육 인대의 수축을 촉진하는 처방으로 산후풍을 예방한다.

혹 이 과정을 소홀히 하여 산후풍이 이미 온 경우라면 전문 한의사는 그에 맞게 사물탕 생화탕 등의 처방에 시호, 계지, 강활, 독활, 우슬 등의 약재를 가미해 치료한다.

올해부터 경기도 거주 산모들의 출산 후 조리에는 경기지역화폐를, 유산 후 조리에는 국민행복카드 등을 지원받아 큰 경제적 부담 없이 한의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여성이 우수한 한의약 치료를 통해 산후풍을 예방하고 치료해,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본다.

윤성찬 경기도한의사회 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