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딸 논란에 대해 직접 얘기 한 건 두 번이다. 21일과 22일 인사청문회 준비단으로 출근하면서다. 21일은 이렇게 말했다. “딸이 등재 논문 덕분에 대학 또는 대학원에 부정 입학을 했다는 의혹은 명백한 가짜뉴스다.” 적법했음을 강조한 해명이다. 22일 해명은 바뀌었다. “당시 제도가 그랬다거나 적법했다든가 변명할 생각 없다…마음 아프게 생각하고 있다.” 적법 여부를 떠나 국민 정서에 반했음을 인정한 해명이다.
조 후보자의 딸 조모씨 논란은 다양하다. 교수 논문에 제1저자로 등재된 것이 옳았냐는 논란, 이 논문이 대학 전형 과정에 영향을 미쳤느냐는 논란, 장학금을 수령한 것이 특혜 아니냐는 논란 등이다. 조 후보자의 첫날 해명은 이 모든 걸 ‘법적으로 문제없다’로 설명했다. 스스로 비난의 화두를 ‘부정 입학’이라고 설정했다. 그러면서 ‘대전제인 부정 입학이 아니니 가짜뉴스’라고 결론 냈다. 법적으로 문제없는 일을 괜히 부풀린다는 논리다.
왜곡이다. 말장난이다. 적어도 제도권 어느 언론도 ‘부정 입학’을 전제하지 않았다. 의혹을 제기하는 큰 줄기는 통상적이지 않은 과거다. 일반 국민은 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을 지적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인 딸이 논문에 제1저자로 등재됐다. 논문 등재 사실이 일부 입학 과정에서 노출됐다. 200만 원씩의 장학금이 여섯 차례 지급됐다. 이 세 가지 진실 앞에 국민이 ‘금수저 실망’을 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적법ㆍ불법보다 훨씬 분노할 일이다.
하루 늦게나마 조 후보도 이 점을 깨달은 듯하다. 둘째 날 해명에서 ‘적법했다고 변명하지 않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문제는 민주당이다. 조 후보를 돕겠다는 논리가 들을수록 안쓰럽다. 김종민 의원은 “유학을 준비하고 있으니 교수가 학생을 특별히 배려한 것이다”라고 감쌌다. 지금 국민이 그런 ‘특별한 대우’에 분노하고 있는 걸 모르나. 특목고 이력에 대해서도 “개인이 사회 제도 뛰어넘어서 살 수 없다”고 두둔했다. 그러면, 특목고에 못 간 아이들이 바보라는 것인가. 이철희 의원은 “기분은 나쁠 수 있지만 장관 결격 사유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금의 국민 분노가 속 좁은 열등자들의 사감 표출 정도인가.
긁어 부스럼이라는 말이 있다. 지금 민주당 등 여권 일부의 조국 구하기가 꼭 그 짝이다. 일반 서민이면 꿈도 못 꿀 ‘특별한 대우’가 사실로 확인됐다. 그 ‘상위 1%의 특별 대우’에 국민이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대고 ‘법에 안 걸리는 약간의 특별 대우’라고 우기면 도대체 어쩌자는 건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