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協, 수질 자가진단·수계전환 안전관리 시스템 기술개발 연구과제 선정
위기관리 체계적 대응 매뉴얼 등 개발… ‘제2의 수돗물 대란’ 원천봉쇄 기대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를 겪은 인천시가 우리나라 수돗물 안전 관리를 위한 선봉장에 선다. 시는 국비 지원을 받아 수돗물 수질 이상 여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과, 적수 사태의 원인으로 꼽히는 수계전환 관련 시스템, 위기관리 매뉴얼 등의 개발에 나선다.
2일 시에 따르면 최근 행정안전부 주관의 ‘2019년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는 시가 제출한 ‘수돗물 수질 자가진단 및 수계전환 안전관리 시스템 기술개발’을 연구과제로 선정했다. 시는 상수도 단수·수계전환 대응매뉴얼 개발과 주민을 위한 수돗물 모니터링 시스템 등 2건의 수돗물 위험관리 대응시스템 2건을 합쳐 제안했다.
앞서 지난 5월 말 인천에서 발생한 적수 사태 이후 서울을 비롯해 강원 춘천, 경기도 안산, 경북 포항 등 전국에서 유사한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신속히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늦어지며, 수돗물에 대한 불안 및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시는 수질사고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사고발생 전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위험관리시스템(Risk Management System)을 구축 할 계획이다. 또 수돗물 수질 이상 여부를 현장에서 단 시간에 확인할 수 있는 수질검사 기술도 개발한다.
특히 시는 일부 정수장이 멈춰 섰을 때 다른 정수장의 물길을 끌어와 모든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해주는 ‘정수장 간 수계전환’을 비롯해 원수장이 멈췄을 때도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계전환 안전관리 시스템 및 매뉴얼을 개발한다.
시는 이 시스템과 매뉴얼을 개발해 적수 사태와 같거나, 비슷한 상황이 발생해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행정안전부로부터 총 사업비 5억원을 받아 오는 2020년까지 18개월 동안 연구를 할 예정이다.
시는 우선 2019년까지 수계전환 매뉴얼을 개발해 시민들에게 안정적으로 급수하는 방안을 확보할 방침이다. 또 연구가 끝나 수계전환 표준매뉴얼이 만들어지면, 이 매뉴얼로 새로 적용할 예정이다.
박영길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이번 연구과제는 인천시의 현안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긴급하게 제안한 과제”라며 “수계시스템과 합쳐서 현장에서 적용시켜 보고, 철저한 검증을 거쳐 개발해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