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폐기물·미세먼지 등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환경 현안 해결과 관련 산업을 육성해 일자리를 확대한다.
환경부는 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제12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에 대해 상정·의결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통합환경 컨설턴트, 미세먼지 예보·분석, 환경측정분석사 등 전문성 높은 일자리를 제도화해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청년들이 도전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청년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폐기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 업사이클 전문기업 육성을 위해 전 과정지원 플랫폼 구축, 개별기업 맞춤형 지원 제공, 거점형 센터 구축 확대 등을 추진한다.
안정적인 폐기물 관리를 위해 재활용 시장 안정화, 미래폐자원 재활용 체계 마련 등 재활용 산업을 지원하고, 전처리·소각·매립 시설과 같은 폐기물 SOC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농촌·해양·하천 등 접근이 어려운 폐기물 수거·관리 사각지대를 깨끗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공공일자리를 확충한다.
붉은 수돗물과 같은 상수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국 지방상수도에 수질·수량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감시하는 스마트시스템을 구축하는 동시에 땅꺼짐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노후 SOC를 정비하는 사업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지역별 환경관련 유휴인력 등을 활용한 미세먼지 감시단을 운영하는 한편 수도권 최대 배출원인 수송부문 감축을 위해 친환경차 보급 및 설비 구축 등을 통해 시장수요를 창출한다. 또 미세먼지 저감하는 유망 기술이 시장에서 활성화되도록 실증화 사업 등을 지원한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