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IPA)가 오는 12월 문을 여는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출국장 면세점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입찰에 들어간다.
하지만, 기대 수익이 낮고 임대료가 비싸 업체들의 참여가 저조해 희망 기업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IPA에 따르면 지난 8월 면세점 사업자 입찰에 업체 1곳만 제안서를 내 유찰됐다.
이는 기존 제1·2국제여객터미널 면세점 운영사가 적자를 보는 상황에서 임대료 부담까지 더해져 업체들의 관심이 적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난해 매출 기준으로 인천항이 제시한 최저수용금액을 적용하면 면세점 운영사는 매출의 22%에 달하는 임대료를 내야 한다.
게다가 이번 재입찰은 국가계약법 상 조건변경을 할 수 없어 3번째 공고까지 가야 수의계약·임대료 인하 등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운영사 찾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IPA는 입주업체의 매출액에 14.32%(최소 영업요율) 이상을 곱한 금액과 임대료 예정가격(47억2천988만6천원) 중 높은 금액을 연간 임대료로 책정했다.
업계 관계자는 “항만 면세점이 공항보다 물동량과 고객이 적은 것에 비해 임대료가 비싼 편”이라며 “수익성이 보이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업체들의 참여가 저조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와 관련, IPA 관계자는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 시기와 신규 개장에 따른 불확실성 등 변수가 있어, 3차 공고까지 가게 된다면 수의계약 또는 임대료 인하 등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