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과천 주암지구 등 11곳에 6조7천억
내년 45조 집행 예정… 정부, 대토보상 확대
과천 등 수도권 공공택지지구 보상 및 내년 3기 신도시 본격화로 52조 원의 보상비가 풀린다.
10일 토지보상ㆍ부동산개발정보 플랫폼 지존에 따르면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과천 주암지구 등 수도권 사업지구 11곳의 토지보상비 6조 6천784억 원과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지구 등 제3기 신도시 공공주택지구 보상금 45조 원 등 모두 52조 원 규모가 시중에 풀릴 전망이다.
현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에 따른 수도권 공공주택지구 총면적은 7.23㎢로 여의도 면적(2.9㎢)의 약 2.5배에 달한다.
월별로 보면 10월에는 1조 1천200억 원 규모로 추산되는 성남복정1, 2 공공주택지구와 남양주 진접2지구, 의왕월암지구 등 5곳에서 토지보상이 시작된다. 11월에는 구리 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군포 대야미지구, 인천가정2지구 등에서 감정평가와 보상이 진행된다.
과천 주암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도 지구지정 3년 5개월 만에 보상에 착수한다. 주암지구의 보상비 규모는 9천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과천에서 대규모 토지보상금이 풀리는 것은 2015년 과천지식정보타운(8천억 원 규모)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12월에는 시흥거모 공공주택지구(152만 2천674㎡)에서 토지보상이 이뤄진다. 지난해 12월 지구지정이 된 시흥거모 지구에는 신혼부부·청년 등 주거안정을 위해 신혼희망타운 등 1만 1천140가구가 지어진다.
같은 달 성남금토 공공주택지구(58만 3천581㎡)도 토지 보상이 이뤄진다. 지난달 26일 보상계획 공고를 마쳤으며 다음 달부터 감정평가를 시작한다. 보상액 규모는 총 1조 원 정도로 추산된다.
다만, 정부는 시중에 풀리는 유동성을 줄이고자 현금이 아닌 해당 지역의 다른 땅으로 보상하는 대토보상을 확대할 예정이어서 실제 시장에 풀리는 토지보상금 규모는 이보다 줄어들 수 있다. 내년에는 3기 신도시 보상이 본격화되면서 전국에서 45조 원에 달하는 토지보상금이 풀릴 전망이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2009년의 34조 8천554억 원보다 10조 원 이상 많은 것으로 역대 최고치다.
우선, 3기 신도시 후보지로 발표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지구 등지에서 본격적인 보상이 이뤄진다. 또 의정부 우정, 인천 검암역세권, 안산 신길지구 등 공공주택지구에서도 보상이 진행된다.
부천 역곡, 성남 낙생, 고양 탄현, 안양 매곡 등 도시공원 일몰 예정지와 인근 연접부지 활용사업을 통해서도 보상이 본격화된다. 오는 2021년에는 3기 신도시 후보지인 고양 창릉지구와 부천 대장지구의 보상도 시작된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