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GM)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인천지역 협력업체의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노조가 장기 파업에 돌입하면 최소 1만대 이상 차량 생산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여 영세한 지역 협력업체가 줄도산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7일 한국지엠 등에 따르면 노조는 수일 내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임금협상 관련 추가 투쟁 계획을 정할 예정이다.
노사는 전면파업이 있었던 지난 9~11일과 추석 연휴 12~15일 등 1주일간 단체교섭을 중단했다.
앞서 노조는 기본급 5.65%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250% 규모 성과급 지급, 사기진작 격려금 650만원 지급 등을 담은 요구안을 사측에 제시했다.
하지만, 사측은 경영정상화 전까지는 임금동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노조 측에 전달했다.
노사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인천지역 GM 협력업체까지 불똥이 튀고 있다.
인천에는 1차 협력업체 50여 개와 2·3차 협력업체 등 약 550여 개의 GM 협력사가 있다.
철수설이 나온 2018년부터 최근 유례없는 전면파업까지 이어지면서 지역 협력업체들은 존폐 기로에 놓였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50년 역사를 자랑하는 지역의 대표 GM 1차협력업체 A사는 군산공장 문을 닫았고, 희망퇴직 등을 통해 인력을 줄였다.
2·3차 업체들도 GM이 군산공장 폐쇄 때부터 생산량이 떨어져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다.
일부 3차 협력업체는 사업장 폐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2·3차 협력업체는 정확한 수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사실상 개점 휴업인 곳이 많다고 한다”며 “이미 일부 업체는 구조조정뿐 아니라 폐업까지 고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GM 1차 협력업체 관계자는 “GM 상황이 안 좋다 보니 우리도 일부 직원은 일하고, 나머지는 휴업할 수밖에 없었다”며 “2·3차 협력사는 전체 휴업한 업체도 있는데, 사정이 그 어느 때 보다 좋지 않다”고 했다.
이어 “노조가 파업을 계속 밀어붙이기보단 나름의 전략을 갖고 사측과 협상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파업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도 있지만 그렇진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