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득 “태풍 증가하는데, 태풍 예보관 고작 4명”

국가태풍센터 예산·인력·교육 지원 모두 부족

▲ 이용득 의원
▲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

태풍 예보관이 고작 4명에 불과해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이 기상청 소속 국가태풍센터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업 태풍 예보관은 4명이라고 밝혔다.

부족한 예보 인력은 예보 지원 공무직 4인으로 보완하지만, 공무직 근로자는 주간 근무만 수행하는 형편이어서 예보관 충원이 시급하다는 의원실은 설명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국가태풍센터 예보관은 지방 기상청의 1/4수준이다. 지방 기상청의 경우 평균적으로 3~4인의 예보관이 1개 조를 구성하고 1개 조 구성원들은 분석·예보 업무를 분담한다. 반면 국가태풍센터의 경우 1인 1개 조로 구성되며 예보관 1인이 태풍 분석·예보를 전담해 예보관 업무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태풍센터 관계자는 “영향 태풍 시 예보관 2인이 주·야 24시간 근무하기에, 업무 과중이 심하다”라고 밝혔다.

의원실은 주요 선진국 태풍 인력 현황과 비교해, 국내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국가태풍센터에는 14명의 태풍 전문 인력이 근무하지만,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는 총 45명, 국립허리케인센터는 65명이 근무한다.

국가태풍센터 운영 예산은 2016년도부터 감소 추세다. 국가태풍센터 운영 예산은 지난해 9억7천만 원, 올해 8억9천100만 원으로 줄었다. 기상청은 ‘국가태풍센터 운영사업’의 통합재정사업 자율평가 결과 ‘미흡’에 따른 결과로 예산이 감액됐다고 밝혔다.

이용득 의원은 “태풍이 늘고 있는 만큼, 예산 지원을 늘려서 정확한 태풍예보가 이뤄져야 하지만 예산이 줄어 악순환이 반복된다”라고 지적했다.

또 의원실은 2019년 한국의 태풍예보정확도는 한·미·일 중 제일 낮았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72시간 진로예보 거리오차를 분석하면 한국 184km, 미국 177km, 일본 171km이었다. 인력·예산·교육 지원 부족으로 인해 태풍예보정확도가 세 국가 중 가장 낮다고 설명했다.

이용득 의원은 “매년 2개 이상 태풍이 동시에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져, 태풍 예보관의 업무 강도는 더 강화될 것”이라면서 “기상청은 예산 지원을 늘리고 태풍 예보관을 충원하고, 전문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