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지역 지도 제작·포트홀 보수 관련 등 부서간 엇박자
‘현장중심 행정정보 시각화’ 공무원 교육 등 제도개선 마련
인천시가 지리정보시스템(GIS) 플랫폼을 활용한 협업 콘텐츠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공무원의 인식 부족 등으로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해 현장 기반의 스마트 행정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7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GIS 플랫폼을 활용한 협업 콘텐츠 108개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공무원의 적응 지연 및 인식 부족, 부서간 공감대 부족 등을 이유로 일부 협업 콘텐츠의 추진이 더디거나 멈춰버리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A부서는 협업 콘텐츠 구축 초기에 침수를 담당하는 B부서를 대상으로 상습침수지역을 지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며 협업을 제안했다. B부서는 침수 피해가 자주 일어나지 않았다며 A부서의 제안을 거부했다. 이후 2017년 7월 23일 시간당 100㎜에 가까운 비가 쏟아지면서 인천에는 사람이 죽는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 당시 A부서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침수지도는 실제 침수지역과 거의 일치했던 것으로 나와 협업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또 A부서는 포트홀 보수 관련 C부서에 현장 사진을 찍으면 해당 위치를 저장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제안했지만, C부서는 자신들이 포트홀 발생 위치를 더 잘 알고 사진 찍을 시간도 없다며 반대했다. 보건환경연구원 D부서의 경우에는 모기 예측을 위해 상세한 기상 정보 수집 자료를 E부서에 요청했는 데도, 정보 수집 목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거절당한 일도 있다.
시는 이러한 문제를 ‘행정의 중심은 현장’이라는 인식 하에 해결하고 GIS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 행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GIS 필요성이 높은 안전 및 도시재생 분야 협업 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공감대를 확산하고, 현장 중심의 행정정보를 시각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GIS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도 하고,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한다.
시 관계자는 “GIS 플랫폼에 구축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지도서비스 등 성공사례도 많이 있다”며 “부서간 공감대 확대와 공무원 교육 등을 토대로 데이터 기반 행정을 위한 GIS 플랫폼을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