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춤추는 나라를 꿈꾸며

우리 민족은 대대로 춤과 노래를 좋아해서 소수 인원만 모여도 흥과 끼가 많아 자연스럽게 춤과 노래로 힘든 삶을 달래며 살아왔다. 이렇게 춤이라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인간의 몸의 언어로서 말보다 더 많은 언어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해서 나는 질문한다. 우리가 쓰는 언어로 우리의 사상이나 감정을 다 표현할 수 있는가? 혹 우리가 쓰는 언어로 자신을 속이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우리가 말하는 언어 속에 무의식의 또 다른 언어는 없을까? 왜 우리는 꼭 언어가 필요한가? 그저 아주 필요한 단순한 언어만 가지고 살 수는 없을까? 언어만이 진정한 소통의 수단인가?

그 중에서도 춤은 인간에게 전달되는 가장 직접적인 언어소통의 수단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특히 요즘같이 한국이 시끄럽고 대립적 정치 속에서 그저 작품활동만 하기에는 집중하기도 여건도 마음의 여유도 자꾸 잃어가는 시점에서 나는 꿈을 꾸어본다. 꿈이라는 것은 항상 가능할 수 있기에…. 또한 나의 삶을 비춰볼 때, 내가 하고자 하는 꿈을 향해 달려온 만큼 그 꿈을 실현해 왔기에 나는 또 다른 원대하고 큰 꿈을 꾸고자 한다. 그것은 춤으로 서로 마음의 벽을 허물고 서로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는 소통의 수단으로 춤을 통해서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꿈을 꾸어본다. 특히 이스라엘은 리쿠데암이라고해서 도시에서 쉽게 누구나 함께 남녀노소 관계없이 다 같이 춤추는 모습을 보면서 무척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 춤이라는 것은 몸으로 서로 소통하며 행복해하기에 우리도 많은 곳에서 쉽게 누구나 함께 춤출 수 있기를 꿈꾼다.

특히 수원SK아트리움 상주단체로 있으면서 느끼는 것은 관객들이 공연을 향한 갈증을 직접 경험하면서 꼭 극장이 아니어도 쉽게 어디서든 춤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지 않은가 라는 생각을 했다. 특히 수원발레축제로 수원에서의 5년 경험을 통해 축제 기간 야외음악당에서 치킨과 맥주를 시켜 먹으면서 자연스럽게 공연을 관람하는 모습, 특히 어떤 노부부가 자신들이 직접 간이 의자와 식탁을 가져와서 와인을 마시면서 공연을 보고 있는 광경…. 이는 야외무대에서만 볼 수 있는, 그리고 자연과 함께 즐기는 이러한 축제의 큰 장점은 인간이 원하는 아주 작은 행복한 유토피아가 아닐까? 내가 상상해보지 못했던 진정으로 말이 아닌 춤으로 소통하는 계기가 아니었나 생각해본다.

춤은 몸과 마음을 치료해주는 가장 단순한 수단이기에, 온 나라를 춤추게 할 수 있는 정치적 제도를 꿈꾸어 본다. 왜냐하면 춤으로 우리 사회를 더욱 더 건강하게 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황당하지만 허무맹랑하지 않은 꿈을 꾸면서 춤추는 국가를 꿈꿔본다.

서미숙 서발레단 단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