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단신] 김명연, 치매치료제 아닌 의약품 ‘치매환자 5년간 151만건 처방’

▲ 자유한국당 김명연 국회의원(안산 단원갑)

치매전문 치료제가 아닌 단순 뇌대사개선제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4명 중 1명에게 처방되며 건강보험 재정을 잠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김명연 의원(안산 단원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에 따르면, 치매치료제 효능이 인정된 적 없는 단순 뇌대사개선제 ‘콜린알포세레이트’ 약품이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들에게 처방된 수가 151만 5천여 건에 달했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미국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되고 일본에서는 퇴출 수순을 밟고 있어 치매치료제로 공인된 바 없는 성분임에도 한국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4명 중 1명이 전문의약품으로 처방받고 있는 것이다.

‘콜린알포세레이트’ 성분은 뇌대사기능제로 나이가 들어 기억력 감퇴, 무기력, 어눌함을 느끼는 환자들에게 쓰이도록 허가됐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급여 청구건수가 2천929만 건에 달하며 청구액수는 무려 1조 1천776억 원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심사평가원은 콜린알포세레이트에 1조 이상 건보료가 투입되는 동안 아무런 재검토를 하지 않았다”며 “건보재정 절감이 중요해진 만큼 청구금액 상위 50개 약제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급여 적정성을 재평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