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여건 맞는 지반침하 예방 초점
지반침하 등 ‘땅 밑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경기도가 내년까지 ‘지하안전 로드맵’을 마련한다.
경기도는 17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 지하안전관리계획(2020~2024)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 계획 수립방향을 본격 논의했다. 이번 용역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시행 중인 ‘지하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내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도는 물론 도내 31개 시ㆍ군이 추진할 지하안전관리계획의 지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용역을 통해 수립될 ‘경기도 지하안전관리계획’에는 지하안전관리 정책의 기본방향, 지하안전에 대한 관계기관 간 상호협력 및 조치방안, 지하안전관리 기초현황 분석, 지하시설물에 대한 실태점검, 지반침하 중점관리 시설 및 지역의 지정ㆍ해제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특히 도내 지역여건을 고려해 실현 가능하고 체계적인 지반침하 예방 및 지하시설물 관리 방안 마련에 초점을 둘 방침이다. 용역 수행 기간은 이달부터 내년 7월까지다.
도 관계자는 “용역 진행과정에서 시ㆍ군 담당자, 지하시설물 관리주체, 관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 TF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도민이 체감하고 지역여건을 감안한 계획 수립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