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발화성 위험물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윤재옥 의원(대구 달서을)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허가받고 설치된 발화성 위험물 취급소·저장소·제조소(이하 ‘제조소등’) 11만 2천 개소 중 19.6%인 2만 2천 개소가 경기도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에서 제일 많은 수치다.
아울러 최근 5년간(2014~2018년) 도 내에서 허가받지 않고 무허가로 발화성 위험물을 저장· 취급했다가 관할 자치단체에 적발된 건수도 417건에 이르렀다.
지난 8월 11명의 인명피해(소방관 1명 사망, 10명 부상) 및 34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던 안성 물류창고 화재 사건도 조사 결과 화약의 원료로 사용되는 위험물을 지하에 무허가로 보관해 대기온도 상승 및 이상발열로 발화ㆍ폭발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도 내에서 위험물을 보관해오다 발화나 폭발 사고로 이어진 건수가 최근 5년간(2014~2018년) 141건에 인명피해가 5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확인됐다. 또 5년간(2014~2018년) 사고로 인해 발생한 재산피해액 역시 경기도가 285억 4천만 원으로 전국 피해액 684억 8천800만 원의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안성 물류창고 화재를 계기로 지난 8월 16일부터 6주간 경기도 내 위치한 물류창고 1천230개와 폭발성 위험물취급소 90개를 전수조사했다. 그 결과 1천221건의 불량건수를 적발해 27건을 입건했고, 입건된 27건 중 17건이 무허가 위험물 저장·취급 범죄로 확인됐다.
윤재옥 의원은 “위험물을 제조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등’은 조금만 잘못 관리해도 대형 화재로 이어질 우려가 매우 커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1천300만 경기도민의 안전과 생명이 달린 문제인 만큼 폭발성 고위험물의 유통과정을 철저히 조사해 강력히 처벌하는 등 보다 세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현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