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1부의장 “인천시, 전국 광역 최초 신입생 전원 교복 무상 지원 도시”

제8대 인천시의회가 출범한지 1년여가 지났다. 시의회는 ‘공정·투명 의정’, ‘현장 의정’, ‘협치 의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의원은 인천시민이 선거를 통해 뽑은 대표다. 이들 대표의 발언은 곧 시민의 목소리고, 이는 인천시에 스며들어 시민을 위한 정책이 만들어진다.

본보는 37명의 시의원을 각각 만나 지난 1년간의 의정 활동과, 앞으로 활동 방향 등을 들어본다. 편집자 주

“인천의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 무상교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조례를 바꾼 것은, 작지만 인천 역사에 그어진 한 획입니다.”

김진규 시의회 제1부의장(민·서구1)은 “새로 만든 조례의 핵심은 지역경제 활성화, 보편적 복지를 이루겠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부의장은 그 동안 무상교복 지원 사업의 맹점으로 인천의 자체 브랜드의 부재를 꼽았다. 인천의 자체 브랜드가 없이 사업이 이뤄지다 보니 4대 교복 업체로 시의 혈세가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그는 “중소기업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장은 지자체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정책을 마련하라고 한다”며 “하지만 무상 교복 사업은 4대 교복 업체 위주로 계약이 이뤄져, 그동안 시민의 세금 70%가 다른 지자체로 넘어갔다”고 했다.

또 김 부의장은 4대 교복 업체에서 지급하는 교복의 질도 지적했다. 앞서 그는 4대 교복 업체가 신상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닌 앞서 만들고 팔리지 않은 재고를 지급하는 것임을 밝혀냈다.

김 부의장은 “대리점은 재고품을 판매가보다 값싼 가격에 지급하면서 본사로부터 백마진을 받아왔다”며 “본사는 재고품을 처리해 좋고 대리점은 백마진을 받으니 좋은 구조였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이 같은 불공정 거래를 없애고자 학교별로 발주하던 것을 시 교육청에서 통합 발주하고 관리감독을 하도록 바꿨다”고 했다.

김 부의장은 앞으로의 의정 활동 목표로 바람직한 학교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이 이뤄지도록 시 교육청을 감시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 교육청은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건식방식의 렌털형식 공기청정기를 도입하는 것만 생각하고 있다”며 “하지만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은 순환 방식, 습식 방식 등 다양하게 있다. 이를 모두 비교해 더 좋은 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김 부의장은 “이 밖에도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교실 바닥을 교체하고 운동장에서 사용한 신발을 그대로 교실에 신고 들어오지 않도록 제도를 잘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