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15주년, 소비자 10명 중 6명 "국내 시장에 긍정적 영향"

국내 소비자 10명 중 6명 이상은 자유무역협정(FTA)이 국내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FTA 체결 15주년을 맞아 FTA를 인지하고 있으면서 수입소비재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25∼59세 남녀 3천 명을 대상으로 후생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2004년 칠레와의 FTA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54개국과 16건의 FTA를 체결했다. 조사 결과, FTA가 국내 시장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응답한 비율은 67.5%였다. 이는 2015년 조사(46.3%) 때보다 21.2%p 증가한 수치다.

FTA로 인해 상품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응답은 88.1%였고, 가격이 낮아졌다고 한 답변은 66.6%였다.

수입소비재를 과일류·주류·건강기능식품·소형가전·세제류·가공식품·자동차·축산물·애완용품·화장품·견과류·수산물·신발류·안경류·음료·생수 등 16개 품목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상품 선택의 폭이 확대됐다는 응답은 과일류가 87.5%로 가장 높았고, 생수가 59.7%로 가장 낮았다.

가격이 낮아졌다는 응답은 주류가 66.4%로 가장 높았고, 품질이 높아졌다는 응답은 과일류가 76.3%로 1위를 기록했다. 반면 화장품(26.6%)은 가격 하락 효과가 가장 낮다고 평가됐고, 품질향상에 대한 인식은 생수(38.3%)가 가장 낮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6월 3일부터 24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1.79%p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