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담합 특별사면 이후 사회공헌 2천억원 낸다던 74개 건설사 고작 100억원

4대강 사업에서 담합한 건설사들이 특별사면을 받은 뒤 조성키로 한 2천억원의 사회공헌기금이 100억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림산업과 포스코건설 등은 특별사면을 받은 뒤 수조원의 공공공사를 수주했지만, 사회공헌기금 납부는 수억원에 불과했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호중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구리)이 국토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4대강 사업을 담합한 뒤 특별사면을 받은 17개사를 포함해 74개 대형 건설사가 수주한 공공공사 규모는 50조원에 달한다.

민간사업은 5배 규모인 250조원을 수주했다.

이들 건설사는 당시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총 2천억원의 사회공헌기금을 조성키로 약속했다.

하지만, 지난 9월말 기준으로 사회공헌기금은 100억원으로 당초 계획의 5% 수준에 머물고 있다.

시공능력 평가 상위 10개 건설사 중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공공사업을 수주한 기업은 대림산업(3조7천837억원·43건)이다.

이어 포스코건설(2조6천737억원·27건), 대우건설(2조6천65억원·55건), 현대건설(1조8천619억원·32건), 동부건설(1조6천469억원·56건) 등의 순이다.

공공공사 수주 1~3위인 대림산업, 포스코건설,대우건설등이 낸 사회공헌기금은 10억원, 9억4천만원, 10억5천만원에 각각 그쳤다.

윤 의원은 “4대강 담합으로 공공 입찰 자격 제한이 걸린 건설사들이 특별사면 때 스스로 한 약속마저 지키지 않고 있다”며 “국토부가 이들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12년 17개 대형 건설사는 4대강 사업 입찰과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천11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고 공공공사 입찰 자격도 제한이 걸렸지만 지난 2015년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았다.

강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